컴퓨터 일반
1. 다음 중 2차원 또는 3차원 물체의 모형에 명암과 색상을 입혀 사실감을 더해주는 그래픽 기법은?
① 모델링(Modeling) ② 애니메이션(Animation)
③ 리터칭(Retouching) ④ 렌더링(Rendering)
풀이)
- 모델링(Modeling):렌더링을 하기 전에 수행되는 작업으로, 물체의 형상을 3차원 그래픽으로 어떻게 표현할것인지를 정함
- 애니메이션(Animation):정지화면을 필름의 프레임 안에 한 장 찍고 조금씩 움직여가며 한 장 찍고를 반복하며 촬영한 영상을 빠르게 넘겨보게 되면 한 장 한 장 정지된 화면에 잔상이 남게 되고, 마치 움직이는 듯한 느낌의 착각이 들게 된다
- 리터칭(Retouching):기존의 이미지를 다른 형태로 새롭게 변형 - 수정하는 작업
- 렌더링(Rendering):3차원 애니메이션을 만드는과정중 하나로 물체의 모형에 명암과 색상을 입혀 사실감을 더해 주는 작업
- 디더링 : 제한된 색상을 조합하여 복잡한 색이나 새로운 색을 만드는 작업
- 모핑 : 2개의 이미지를 부드럽게 연결하여 변환 통합하는 것으로, 컴퓨터 그래픽, 영화 등에서 많이 응용함
- 필터링 : 이미 작성된 그림을 필터기능을 이용하여 여러가지 형태의 새로운 이미지로 바꿔주는 작업
- 안티앨리어싱 : 이미지의 가장자리가 톱니모양으로 표현되는 계단 현상을 없애기 위해서 경계선을 부드럽게 해주는 필터링 기술
2. 다음 중 mp3 파일의 크기를 결정하는 요소에 해당하지않는 것은?
① 표본 추출률(Hz) ② 샘플 크기(bit)
③ 재생 방식(mono, stereo) ④ 프레임 너비(pixel)
풀이)
- 프레임너비 : 프레임은 비디오 데이터에서 1초의 영상을 구성하는 한 장면으로 프레임 너비는 사운드 파일의 크기를 결정하는 요소에 해당하지 않음
- 표본추출률(Hz) : 소리가 기록되는 동안 초당음의 측정되는 횟수
- 샘플크기(bit) : 채취된 샘플을 몇 비트 크기의 수치로 나타낼 것인지를 표시(8, 16비트가 많이 사용)
- 재생방식(Mono, Stereo) : 모노)Mono)는 양쪽 스피커에 좌우 구분 없이 같은 소리가 나오도록 1로 계산하며 스테레오(Stereo)는 좌우 구분이 되면서 다른 소리가 니오도록 2로 계산됨
- 사운드 파일의 크기 산출 공식 : 표본 추출률(Hz) x 샘플의 크기(Bit)/8 x 재생방식 x 지속시간(s)
3. 다음 중 컴퓨터 통신에서 사용하는 프록시(Proxy) 서버의 기능으로 옳은 것은?
① 방화벽 기능과 캐시 기능
② 내부 불법 해킹 차단 기능
③ FTP 프로토콜 연결 해제 기능
④ 네트워크 병목현상 해결 기능
- 프록시 서버는 PC 사용자와 인터넷 사이에서 중계자 역할을 하는 서버로 방화벽 기능과 캐시 기능을 갖는 서버이다.
방화벽 기능으로는 외부와 연결하여 통신이 가능하도록 해주고,
캐시 기능으로는 많은 접속 데이터를 프록시 서버에 저장해두었다가 전송해주는 기능을 갖는다.
- - 방화벽(firewall) : 보안이 필요한 네트워크의 통로를 단일화하여 관리함으로써 외부의 불법 침입으로부터 내부의 정보 자산을 보호하는 시스템, 역추적 기능 있음. 내부로부터의 불법 해킹은 막지 못함
- 프록시(proxy)서버 : pc 사용자와 인터넷 사이에서 중계자 역할 하는 서버, 1) 방화벽 기능 2) 캐시기능이 있음
4. 다음 중 바이러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감염 부위에 따라 부트 바이러스와 파일 바이러스로 구분한다.
② 사용자 몰래 스스로 복제하여 다른 프로그램을 감염시키고, 정상적인 프로그램이나 다른 데이터 파일 등을 파괴한다.
③ 주로 복제품을 사용하거나 통신 매체를 통하여 다운받은 프로그램에 의해 감염된다.
④ 컴퓨터 하드웨어와 무관하게 소프트웨어에만 영향을 미친다.
- 바이러스 특징 : 소프트웨어뿐만 아니라 하드웨어의 성능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5. 다음 중 사물인터넷(IoT)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모든 사물을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소통하는 정보통신환경을 의미한다.
② 스마트 센싱 기술과 무선통신 기술을 융합하여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③ 전기의 생산부터 소비까지의 전 과정에 정보통신 기술을 접목하여 에너지 효율성을 높인다.
④ 개방형 정보 공유에 대한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정보보안 기술의 적용이 필요하다.
- 스마트 그리드 :기존의 전력망에 정보통신기술(IT)을 접목해 에너지 네트워크와 통신 네트워크가 합쳐진 지능형 전력망으로 전력공급자와 소비자가 실시간으로 전기사용 관련 정보를 주고받음으로써 에너지 사용을 최적화할 수 있는 차세대 전력망 사업이다..
6. 다음 중 IPv6 주소 체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IPv4 주소 체계의 주소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되었다.
② IPv6 주소는 16비트씩 8부분으로 총 128비트로 구성되어 있다.
③ 주소는 네트워크의 크기나 호스트의 수에 따라 A, B, C, D, E 클래스로 나누어진다.
④ 실시간 흐름 제어로 향상된 멀티미디어 기능을 지원한다.
- A, B, C, D, E 클래스로 나누어 지는 것은 IPV4 주소체계의 특징이다.
- Pv6의 주소는 송, 수신자에 따라 유니캐스트, 멀티캐스트, 애니캐스트로 나뉜다.
유니캐스트 : 단일 송신자와 단일 수신자
멀티캐스트 : 단일 송신자와 다중 수신자
애니캐스트 : 단일 송신자와 가장 가까이 있는 단일 수신자
7. 다음 중 인터넷에서 사용하는 URL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인터넷 상에 존재하는 각종 자원의 위치를 나타내는 표준 주소 체계이다.
② URL의 일반적인 형식은 '프로토콜://호스트주소[:포트번호][/파일경로]'이다.
③ 계정이 있는 FTP의 경우 'http://사용자이름[:비밀번호]@서버이름:포트번호' 형식으로 사용한다.
④ mailto 프로토콜은 IP 정보 없이 받는 사람의 이메일 주소만 나타내면 된다.
- FTP의 경우 http가 아닌 'ftp://사용자이름[:비밀번호]@서버이름:포트번호' 형식으로 사용한다.
- mailto는 이메일 주소를 위한 통합 자원 식별자(URI) 스킴이다..이메일 클라이언트로의 복사 및 입력 과정 없이 사용자들이 특정한 주소로 전자 우편을 보낼 수 있도록 웹사이트의 하이퍼링크를 만들기 위해 사용된다
8. 다음 중 컴퓨터 통신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 기능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통신망에 전송되는 패킷의 흐름을 제어해서 시스템 전체의 안전성을 유지한다.
②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송·수신기 사이에 같은 상태를 유지하도록 동기화 기능을 수행한다.
③ 데이터 전송 도중에 발생하는 오류를 검출한다.
④ 네트워크에 접속된 다양한 단말장치를 자동으로 인식 하여 호환성을 제공한다.
- 프로토콜(Protocol) : 서로 다른 기정 간의 데이터 전송 시 우너할한 정보 교환이 가능하도록 절차 등을 규정해 놓은 통신 규약
- 프로토콜의 기능 : 단편화와 재조합, 주소지정, 순서지정, 캡슐화, 연결제어, 오류제어, 동기화, 데이터 흐름제어, 멀티플렉싱, 전송서비스
- 데이터 흐름 제어 기능 : 통신망에 전송되는 패킷의 흐름을 제어해서 시스템 전체의 안전성을 유지한다.
- 동기화 기능 :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송·수신기 사이에 같은 상태를 유지하도록 동기화 기능을 수행한다.
- 오류 제어 기능 : 데이터 전송 도중에 발생하는 오류를 검출한다.
- PnP(플러그엔플레이) : 컴퓨터 시스템에 하드웨어를 설치했을 때, 해당 하드웨어를 사용하는 데 필요한 시스템 환경을 운영체제가 자동으로 구성해 주는 것을 말한다.
9. 다음 중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소프트웨어의 재사용으로 프로그램의 개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② 대표적인 객체지향언어로 C++, Java 등이 있다.
③ 상속성, 캡슐화, 추상화, 다형성 등의 특징이 있다.
④ 순차적인 처리가 중요시되며 프로그램 전체가 유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작성한다.
- 객체지향프로그래밍 :
객체라는 단위를 이용하여 현실 세계에 가까운 방식으로 프로그래밍하므로 이해하기 쉽고 조작하기 쉬운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다.
유지보수가 쉽고 재사용 가능한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다.
특징: 상속성, 캡슐화, 추상화, 다형성, 오버로딩 등
종류: Smalltalk, C++, JAVA 등 - 순차적인 처리를 중요시하는 기법은 구조적프로그래밍 기법으로 순서적, 선택적, 반복적인 세가지 논리 구조를 사용함
10. 다음 중 아래의 설명에 해당하는 Windows 제공 기능은?
① 선점형 멀티태스크(Preemptive Multitasking)
② GUI(Graphic User Interface)
③ PnP(Plug &Play)
④ OLE(Object Linking and Embedding)
- 선점형 멀티태스킹: 운영체제가 각 작업의 cpu 이용시간을 제어하여 응용프로그램 실행중 문제가 발생하면 해당 프로그램을 강제 종료시키고, 모든 시스템자원을 반환하는 멀티태스킹 운영 방식
- GUI:사용자가 컴퓨터와 정보를 교환할 때, 그래픽을 통해 작업할 수 있는 환경을 말한다..마우스 등을 이용하여 화면에 있는 메뉴를 선택하여 작업을 할 수 있다.
- PnP:컴퓨터에 주변기기를 추가할 때 별도의 물리적인 설정을 하지 않아도 설치만 하면 그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
- 개체 연결 및 삽입.현재 편집 중인 응용소프트웨어로 다른 응용소프트웨어에서 작성한 그림이나 표, 차트, 비디오 등과 같은 데이터를 곧바로 끌어오는 기능을 말한다. OLE는 특히 윈도의 멀티태스킹(다중작업) 기능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하는데, 이를 통해 각각의 소프트웨어 특성에 맞는 작업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다.
11. 다음 중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ASCII 코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각 문자를 7비트로 표현하며, 총 128개의 문자 표현이 가능하다.
② 확장 ASCII 코드는 8비트를 사용한다.
③ 데이터 처리 및 통신 시스템 상호 간의 정보 교환을 위해 사용된다.
④ 각 나라별 언어를 표현할 수 있다.
- 유니코드 : 각 나라별 언어를 모두 표현하기 위해 나온 코드 체계가 유니코드(unicode)다. 유니코드는 사용중인 운영체제, 프로그램, 언어에 관계없이 문자마다 고유한 코드 값을 제공하는 새로운 개념의 코드다. 언어와 상관없이 모든 문자를 16비트로 표현하므로 최대 65,536자를 표현할 수 있다.
12. 다음 중 컴퓨터의 펌웨어(Firmware)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주로 하드 디스크에 저장되며 부팅 시 동작한다.
② 펌웨어 업데이트만으로도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③ 컴퓨터 바이러스 백신과 관련이 있는 프로그램이다.
④ 컴퓨터 연산 속도를 빠르게 도와주는 하드웨어이다.
- 펌웨어 : 하드웨어의 동작을 지시하는 소프트웨어지만 하드웨어적으로 구성되어 하드웨어의 일부분으로도 볼 수 있는 제품.
- 펌웨어는 하드웨어 교체없이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만으로 시스템의 성능을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됨.
- 펌웨어는 ROM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어 하드웨어를 제어, 관리한다.
(최근에는 읽/쓰 가능한 플래시 롬에 저장되기 때문에 내용을 쉽게 변경, 추가, 삭제할 수 있다.)
13. 다음 중 컴퓨터 메인보드에 사용되는 칩셋(Chip Set)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컴퓨터를 구성하는 모든 장치들이 장착되고 연결되는 기판이다.
② 메인보드에 장착되어 있는 각 장치들을 제어하고 역할을 조율한다.
③ CPU와 주변장치 간의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는 통로 역할을 한다.
④ 메인보드에 주변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접속 부분을 말한다.
풀이)
- 메인보드 칩셋 - 컴퓨터 메인 보드 내의 여러 장치를 통합 제어한다..컴퓨터 전체의 핵심이 CPU라면 메인보드의 핵심이 칩셋이다 축구경기의 심판같은 존재
- 메인보드 혹은 마더보드 : 컴퓨터를 구성하는 모든 장치들이 장착되고 연결되는 기판이다.
- 컴퓨터 버스 : CPU와 주변장치 간의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는 통로 역할을 한다.
- 포트(Port) : 메인보드에 주변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접속 부분을 말한다.
14. 다음 중 컴퓨터 보조 기억장치로 사용되는 SSD(Solid State Drive)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고속으로 데이터를 입출력할 수 있으며, 배드섹터가 발생하지 않는다.
② HDD와 같이 바로 덮어쓰기를 할 수 있으며, 읽기/쓰기 성능이 비슷하다.
③ 650nm 파장의 적색 레이저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기록한다.
④ 소음이 없고 발열이 낮으나 HDD에 비해 외부 충격에 약하다.
- SSD는 발열, 소음, 전력 소모가 적으며 하드디스크(HDD)에 비해 외부 충격에 강하다.
- 650nm 파장의 적색 레이저를 사용하는 장치는 DVD이다.
- 섹터란 디스크를 동심원으로 나눈 트랙을 다시 구간 별로 나눈것을 말하며 SSD는 디스크로 구성된 것이 아니므로
베드 섹터란 용어는 사용할수 없습니다.
당연히 SSD는 베드섹터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15. 다음 중 외부 인터럽트가 발생하는 경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컴퓨터의 전원 공급이 중단되었을 경우
② 실행할 수 없는 명령어가 사용된 경우
③ 타이머에 의해 의도적으로 프로그램이 중단된 경우
④ 입출력 장치의 입출력 준비 완료를 알리는 경우
- 인터럽트 : 프로그램 실행 도중 예기치 않은 상황이 발생할 경우 현재 작업을 일시 중단하고 발생된 상황을 우선처리한 후 실행중인 작업으로 복귀하여 계속 처리하는 것
- 외부 인터럽트: 입출력장치, 타이밍 장치, 전원 등의 외부적인 요인으로 발생
- 내부 인터럽트: 잘못된 명령이나 데이터 사용시 발생하며 트랩이라고도 부름
- 소프트웨어 인터럽트 : 프로그램 처리 중 명령의 요청에 의해 발생
16. 다음 중 레지스터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CPU 내부에서 특정한 목적에 사용되는 일시적인 기억 장소이다.
② 메모리 중에서 가장 속도가 느리며, 플립플롭이나 래치 등으로 구성된다.
③ 컴퓨터의 유지 보수를 위한 시스템 정보를 저장한다.
④ 시스템 부팅 시 운영체제가 로딩되는 메모리이다.
- 레지스터 : CPU 내부에서 처리할 명령어나 연산의 중간 값 등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기억장치. 메모리 중 액세스 속도가 가장 빠르고, 플립플롭이나 래치 등을 연결하여 구성함
17. 다음 중 Windows 운영체제에서 사용하는 NTFS 파일시스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FAT32 파일 시스템과 비교하여 성능 및 안전성이 우수하다.
② 하드 디스크 논리 파티션의 크기에는 제한이 없다.
③ 비교적 큰 오버헤드가 있기 때문에 약 400MB 이하의 볼륨에서 사용하는 것은 좋지 않다.
④ 파일 및 폴더에 대한 액세스 제어를 유지하고 제한된 계정을 지원한다.
풀이)
- NTFS 파일시스템 : Windows 10의 경우, MBR 파티션과 GPT 파티션을 지원합니다.
MBR 파티션은 하나의 디스크 파티션 크기를 최대 약 2TB로 제한합니다.
GPT 파티션의 경우에는, 최대 디스크 및 파티션을 9.4ZB(제타 바이트)까지 허용한다고 확인됩니다.
18. 다음 중 Windows의 관리 도구 중 [컴퓨터 관리]에서 수행 가능한 [디스크 관리] 작업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볼륨을 확장하거나 축소할 수 있다.
② 드라이브 문자를 변경할 수 있다.
③ 포맷을 실행할 수 있다.
④ 분석 및 디버그 로그를 표시할 수 있다.
풀이)
- ‘분석 및 디버그 로그를 표시’ : [컴퓨터 관리자]-[이벤트 뷰어]에 해당한다.
19. 다음 중 폴더의 [속성] 창에서 설정할 수 없는 작업 내용은?
① 문서나 사진, 음악 등 폴더의 최적화 유형을 설정할 수 있다.
② 폴더에 대한 사용 권한과 공유 설정을 할 수 있다.
③ 폴더 안의 파일을 삭제할 수 있다.
④ 폴더 아이콘을 변경할 수 있다.
- 속성 클릭시
일반/공유/보안/이전 버전/ 사용자 지정으로 구분되며
유형, 공유설정, 아이콘변경, 복원, 보안(사용자권한), 위치 및 크기, 읽기,숨김을 체크할수있지만
삭제는 우클릭 또는 delete 버튼을 눌러서 삭제합니다.
20. 다음 중 Windows에서 시스템을 복원해야 하는 시기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새 장치를 설치한 후 시스템이 불안정할 때
② 로그온 화면이 나타나지 않으며, Windows가 실행되지 않을 때
③ 누락되거나 손상된 데이터 파일을 이전 버전으로 되돌리고자 할 때
④ 파일의 단편화를 개선하여 디스크의 접근 속도를 향상시키고자 할 때
풀이)
- 시스템복원 : 컴퓨터가 최적의 상태일때를 복원 지점으로 설정하여 기억해 놓은 후 컴퓨터 시스템에 문제가 생겼을 경우 복원 지점을 이용하여 정상적인 상태로 만드는 기능
- 디스크 조각 모음 : 파일의 단편화를 개선하여 디스크의 접근 속도를 향상시키고자 할 때, 파일의 단편화를 해결하려는 목적으로 사용합니다.
'IT자격증공부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퓨터활용능력 1급 필기 예상문제 #9(데이터베이스 일반) (0) | 2023.01.22 |
---|---|
컴퓨터활용능력 1급 필기 예상문제 #8(스프레드시트 일반) (0) | 2023.01.21 |
컴퓨터활용능력 1급 필기 예상문제 #6(데이터베이스 일반) (0) | 2023.01.19 |
컴퓨터활용능력 1급 필기 예상문제 #5(스프레드시트 일반) (0) | 2023.01.18 |
컴퓨터활용능력 1급 필기 예상문제 #4(컴퓨터 일반) (0) | 2023.0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