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일반
1. 다음 중 사운드의 압축 및 복원과 관련된 기술에 해당하지않는 것은?
① FLAC ② AIFF
③ H.264 ④ WAV
H.264
- 매우 높은 압출률이 지원되는 디지털 비디오 코덱 표준 기술
- 현재 국내 지상파 DMB 및 위성 DMB의 비디오 기술 표준
- 높은 화질 및 음질의 지원으로 디지털 방송이나 모바일 동영상 플레이어에 효율적임
오디오 파일 형식의 종류
- FLAC : 압축과정에서 오디오 스트림의 손실의 없음 자유 소프트웨어로 누구나 개발 가능
- AIFF : 고품질의 오디오 CD를 만들 수 있음 애플사의 매킨토시에서 사용됨
- WAV : MS사의 Window의 오디오 포맷 표준
2. 다음 중 컴퓨터 게임이나 컴퓨터 기반 훈련과 같이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진행 상황을 제어하는 멀티미디어의 특징을 나타내는 용어는?
① 선형 콘텐츠 ② 비선형 콘텐츠
③ VR 콘텐츠 ④ 4D 콘텐츠
풀이)
멀티미디어의 특징
- 통합성 : 문자, 그래픽, 사운드 등의 다양한 매체를 통합함
- 디지털화 : 다양한 데이터 형식을 컴퓨터가 인식하도록 디지털로 변환함
- 쌍방향성 : 사용자와 제공자 간에 서로 정보를 주고 받음
- 비선형성 :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정보를 처리함 - 하이퍼미디어 콘텐츠로 알려짐
- 선형콘텐츠 : 콘텐츠의 진행 순서가 논리적인 순서(Linear)대로 진행되는 방식의 콘텐츠
- VR 콘텐츠 : 가상 현실(Virtual Reality)이 적용되어 실제 주변 상황처럼 경험하고 상호 작용하는 것처럼 느끼게 할 수 있는 기능이 지원되는 콘텐츠
- 4D 콘텐츠 : 체감형(4D) 기술이 포함된 콘텐츠로 4D 컨텐츠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영상, 음향, 물리효과(사용자의 감각을 자극하는 냄새, 진동, 빛 등) 생성 기술이 필요 함
3. 다음 중 정보 보안을 위한 비밀키 암호화 기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비밀키 암호화 기법의 안전성은 키의 길이 및 키의 비밀성 유지 여부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
② 암호화와 복호화 시 사용하는 키가 동일한 암호화 기법이다.
③ 복잡한 알고리즘으로 인해 암호화와 복호화 속도가 느리다.
④ 사용자가 증가할 경우 상대적으로 관리해야 할 키의 수가 많아진다.
- 송신자와 수신자가 서로 동일(대칭)한 하나(단일)의 비밀키를 가짐
- 단일키이므로 알고리즘이 간단하고 파일 크기가 작음
- 암호화와 복호화의 속도가 빠름
- 대표적인 방식은 DES 방식이 있음
공개키 암호화기법
- 암호키 공개, 비밀키는 비공개(비대칭)
- 복잡한 암고리즘으로 인해 암호화와 복호화 속도가 느리다.
- 키 분배 용이하고 관리할 키 수가 적음
- 대표방식 RSA
4. 다음 중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DDos)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네트워크 주변을 돌아다니는 패킷을 엿보면서 계정과 패스워드를 알아내는 행위
② 검증된 사람이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보낸 것처럼 데이터를 변조하여 접속을 시도하는 행위
③ 여러 대의 장비를 이용하여 특정 서버에 대량의 데이터를 집중적으로 전송함으로써 서버의 정상적인 동작을 방해하는 행위
④ 키보드의 키 입력시 캐치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ID나 암호 정보를 빼내는 행위
- 스니핑 : 네트워크 주변을 돌아다니는 패킷을 엿보면서 계정과 패스워드를 알아내는 행위
- 스푸핑 : 검증된 사람이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보낸 것처럼 데이터를 변조하여 접속을 시도하는 행위
- 키로거 : 키보드의 키 입력시 캐치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ID나 암호 정보를 빼내는 행위
- 분산서비스 거부공격 : 여러 분산된 형태로 동시에 Dos(서비스 거부) 공격을 하는 기법으로 특정 서버에 대량의 데이터를 집중적으로 전송하여 서버의 기능을 마비시키며 공격의 근원지를 색출하기가 어려움
5. 다음 중 VoIP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인터넷 IP 기술을 사용한 디지털 음성 전송 기술이다.
② 원거리 통화 시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보다는 요금이 높지만 일정 수준의 통화 품질이 보장된다.
③ 기존 회선교환 방식과 달리 네트워크를 통해 음성을 패킷형태로 전송한다.
④ 보컬텍(VocalTec)사의 인터넷폰으로 처음 소개되었으며, PC to PC, PC to Phone, Phone to Phone 방식으로 발전하였다.
풀이)
Vol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 음성데이터를 인터넷 프로토콜 데이터 패킷으로 반환하여 인터넷 망으로 일반데이터망에서 음성 통화를 가능하게 해주는 통신 서비스 기술
- 원거리 통화 시 PSTN(공중 전화 교환망)보다 요금이 높지 않으며 네트워크 환경이나 트래픽 등의 요인으로 일정 수준 통화 품질이 보장되지 않음
- 기존의 인텉\넷을 이용하기 때문에 구축 비용과 요금이 저렴하나 사용자간 회선을 독점으로 보장해주지 않으므로 트래픽이 많아지면 통화 품질이 떨어질 수 있다.
- '인터넷프로토콜을 통한 음성'의 약어로, 음성 신호를 압축하여 IP를 사용하는 인터넷을 통해 전송하는 방법
- 이 방식으로 전화를 사용하면 시내전화 요금 수준으로 시외 및 국제전화 서비스를 받을 수 있음
6. 다음 중 대량의 데이터 안에서 일정한 패턴을 찾아내고, 이로부터 가치 있는 정보를 추출해내는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① 데이터 웨어하우스(Data Warehouse)
②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g)
③ 데이터 마이그레이션(Data Migration)
④ 메타데이터(Metadata)
-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g) : 마이닝(Mining)은 '캐다, 채굴하다'의 의미로 대량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일정한 패턴을 찾아내고, 이를 토대로 의사 결정을 위한 가치 있는 정보를 추출하는 기술
- 데이터 웨어하우스(Data Warehouse) : 자료의 추출 및 변환을 통해서 만들어진 통합된 대규모의 데이터베이스
- 데이터 마이그레이션(Data Migration) : 데이터의 효윻적인 검색이나 운영 및 저장을 위해 데이터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데이터의 이동'을 의미하는 것으로 PC의 저장 장치인 HDD에서 SSD로 데이터를 옮기는 작업 등이 해당됨
- 메타데이터(Metadata) : 목적을 가지고 만들어진 데이터로 데이터를 설명(기술)하기 위한 구조화된 데이터를 의미함
7. 다음 중 네트워크 프로토콜(Protocol)의 기능에 해당하지않는 것은?
① 패킷 수를 조정하는 흐름 제어 기능
② 송/수신기를 같은 상태로 유지하는 동기화 기능
③ 데이터 전송 도중에 발생하는 에러 검출 기능
④ 네트워크 기반 하드웨어 연결문제 해결 기능
풀이)
- 프로토콜(Protocol) : 서로 다른 기종 간의 데이터 전송 시 원활한 정보 교환이 가능하도록 절차 등을 규정해 놓은 통신 규약으로 네트워크 기반의 하드웨어 연결 문제를 해결하는 기능은 지원되지 않음
- 프토콜의 기능 : 단편화와 재조합, 주서ㅗ 지정, 순서 지정, 캡슐화, 연결 제어, 오류제어, 동기화, 데이터 흐름제어, 멀티플렉싱, 전송 서비스 등
8. 다음 중 인터넷 서버까지의 경로를 추적하는 명령어인 'Tracert'의 실행 결과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IP 주소, 목적지까지 거치는 경로의 수, 각 구간 사이의 데이터 왕복 속도를 확인할 수 있다.
② 특정 사이트가 열리지 않을 때 해당 서버가 문제인지 인터넷 망이 문제인지 확인할 수 있다.
③ 인터넷 속도가 느릴 때 어느 구간에서 정체를 일으키는지 확인할 수 있다.
④ 현재 자신의 컴퓨터에 연결된 다른 컴퓨터의 IP 주소나 포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 netstat : net(network) + stat(statistics) : 현재 자신의 컴퓨터에 연결된 다른 컴퓨터의 IP 주소나 포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 Tracert : 인터넷 서버까지의 경로를 추적하는 명령어로, IP주소, 목적지까지 거치는 경로(장비의 수)의 수. 각 구간 사이의 데이터 왕복 속도를 확인 할 수 있음, 인터넷 속도가 느릴 때 어느 구간에서 정체를 일으키는지 알아 볼 수 있음
9. 다음 중 IPv6 주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16비트씩 8부분으로 총 128비트로 구성된다.
② 각 부분은 10진수로 표현되며, 세미콜론(;)으로 구분한다.
③ 주소체계는 유니캐스트, 멀티캐스트, 애니캐스트로 나누어진다.
④ 실시간 흐름 제어로 향상된 멀티미디어 기능을 지원한다.
- IPv6주소의 각 부분은 16진수로 표현되며, 콜론(:)으로 구분함
10. 다음 중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특징으로 옳은 것은?
① 객체에 대하여 절차적 프로그래밍의 장점을 사용할 수있다.
② 객체지향 프로그램은 주로 인터프리터 번역 방식을 사용한다.
③ 객체지향 프로그램은 코드의 재사용과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④ 프로그램의 구조와 절차에 중점을 두고 작업을 진행한다.
풀이)
객체지향 프로그램
- 프로그램에서 사용하는 데이터 구조의 데이터형과 사용하는 함수까지 정의하는 프로그래밍 기법
- 객체지향언어에는 C++, Actor, SmallTalk, JAVA 등이 있음
- 공통적인 기능과 속성을 가진 객체를 클래스(Class)라고 함
- 객체가 수행하는 실제 기능을 기술한 코드를 메서드(Method)라 함
- 메서드의 상속과 재사용이 가능하고 시스템의 확장성이 높으며 유지보수가 용이함
11. 다음 중 ASCII 코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3개의 Zone 비트와 4개의 Digit 비트로 하나의 문자를 표현한다.
② 데이터 통신용으로 사용하며, 128가지 문자를 표현할 수 있다.
③ 2비트의 에러 검출 및 1비트의 에러 교정 비트를 포함한다.
④ 확장 ASCII 코드는 8비트를 사용하여 문자를 표현한다.
풀이)
아스키(ASCII)코드는 표준 ASCII(7비트, 128개문자), 확장 ASCII(8비트, 256문자)로 구분된다.
해밍코드(Haming Code)
- 에러 검출과 교정이 가능한 코드
- 최대 2비트까지 에러를 검출하고 1비트의 에러 교정이 가능한 방식
- 일반적으로 8421코드에 3비트의 짝수 패리티를 추가해서 구성함
12. 다음 중 하나의 컴퓨터에 여러 개의 중앙처리장치를 설치하여 주기억장치나 주변장치들을 공유하여 신뢰성과 연산능력을 향상시키는 시스템은?
① 시분할 처리 시스템(Time Sharing System)
② 다중 프로그래밍 시스템(Multi-Programming System)
③ 듀플렉스 시스템(Duplex System)
④ 다중 처리 시스템(Multi-Processing System)
풀이)
- 다중 처리 시스템(Multi-Processing System) : 두 개 이상의 CPU로 동시에 여러 개의 프로그램을 처리하는 기법
- 시분할 처리 시스템(Time Sharing System) : 한 CPU를 여러 사용자가 사용하는 경우 사용권을 일정 시간(Time Slice) 동안 할당하여 혼자 독점하여 사용하는 것처럼 하는 기법
- 다중 프로그래밍 시스템(Multi-Programming System) : 하나의 CPU로 동시에 여러 개의 프로그램을 처리하는 기법
- 듀플렉스 시스템(Duplex System) : 두개의 CPU 중 한 CPU가 작업 중일 때 다른 하나는 예비로 대기하는 시스템
13. 다음 중 CPU의 제어장치를 구성하는 레지스터에 관한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프로그램 카운터: 프로그램의 실행된 명령어의 개수를 계산한다.
② 명령 레지스터: 현재 실행 중인 명령을 기억한다.
③ 부호기: 해독된 명령에 따라 각 장치로 보낼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④ 메모리 주소 레지스터: 기억장치에 입출력되는 데이터의 번지를 기억한다.
- 프로그램 카운터 : 다음 번에 실행할 명령어의 번지를 기억하는 레지스터
- 연산장치 : 가산기 -덧셈, 보수기 - 보수하여 뺄셈, 누산기 - 연산결과 일시 기억, 상태레지스터 - 상태정보 기억
- 명령 레지스터 : 명령어의 내용 기억
- 해독기 : 명령어 해독
- 부호기 : 제어신호 생성
14. 다음 중 프린터에서 출력할 파일의 해상도를 조절하거나 스캐너를 이용해 스캔한 파일의 해상도를 조절하기 위해 쓰는 단위는?
① CPS(Character Per Second)
② BPS(Bits Per Second)
③ PPM(Paper Per Minute)
④ DPI(Dots Per Inch)
- 인쇄해상도 : 인쇄된 문자나 숫자 등의 선명한 정도를 나타내며, 표시 단위로는 DPI를 사용함
- DPI(Dots Per Inch) : 1인치에 인쇄ㅔ되는 점의 수(해상도를 나타내는 단위로, 높을수록 해상도가 높아짐)
- CPS(Character Per Second) : 1초당 인쇄되는 문자 수(도트 매트릭스 프린터, 활자식 프린터)
- BPS(Bits Per Second) : 데이터 전송 속도의 단위로 1초당 전송되는 비트수를 의미함
- PPM(Paper Per Minute) : 1분당 인쇄되는 페이지 수(잉크젯 프린터, 레이저 프린터 등)
15. 다음 중 BIOS(Basic Input Output System)에 관한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BIOS는 메인보드 상에 위치한 EPROM, 혹은 플래시 메모리 칩에 저장되어 있다.
② 컴퓨터의 전원을 켜면 자동으로 가장 먼저 기동되며, 기본 입출력 장치나 메모리 등 하드웨어의 이상 유무를 검사한다.
③ CMOS 셋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시스템의 날짜와 시간, 부팅 순서 등 일부 BIOS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④ 주기억 장치의 접근 속도 개선을 위한 가상 메모리의 페이징 파일 크기를 설정할 수 있다.
- 보조 기억 장치의 일부 즉, 하드디스크의 일부를 주기억장치처럼 사용하는 메모리 사용 기법으로, 기억 장소를 주기억 장치의 용량으로 제한하지 않고 보조 기억 장치까지 확대하여 사용함
- 기억 공간의 확대에 목적이 있음(처리 속도 향상이 아님)
16. 다음 중 반도체를 이용한 컴퓨터 보조 기억 장치로 크기가 작고 충격에 강하며, 소음 발생이 없는 대용량 저장 장치는?
① HDD(Hard Disk Drive)
② DVD(Digital Versatile Disk)
③ SSD(Solid State Drive)
④ CD-RW(Compact Disc Rewritable)
풀이)
- HDD - 저장용량크고 데이터 접근 속도 빠르나 충격에 약함, 개인용 컴퓨터에서 보조기억장치로 널리 사용됨
- DVD - 화질과 음질이 뛰어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저장할수있는 대용량 저장매체, 650nm 파장의 적색 레이저 사용
- SSD - 고속으로 데이터 입출력 가능, 메모리에 데이터를 기록하므로 배드섹터가 발생하지 않음,발열 소음 전력소모적고 외부충격에 강하다.
- CD-ROM - 약 650MB의 대용량 정보를 저장하는 매체, 제품을 만들 때 이미 내용을 기록하였기때문에 사용자는 읽기만 가능하다. CD-RW는 여러 번 읽고 쓰는 것이 가능하다.
17. 다음 중 Windows의 [시스템 구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Windows가 제대로 시작되지 않는 문제를 식별하도록 도와주는 고급 도구이다.
② 시작 모드 선택에서 '선택 모드'는 기본 장치 및 서비스로만 Windows를 시작하여 발생된 문제를 진단하는데 유용하다.
③ 한 번에 하나씩 공용 서비스 및 시작 프로그램을 끈 상태에서 Windows를 재시작한 후 다시 켤 때 문제가 발생하면 해당 서비스가 문제의 원인임을 알 수 있다.
④ 부팅 옵션 중 '안전 부팅'의 '최소 설치'를 선택하면 중요한 시스템 서비스만 실행되는 안전 모드로 Windows를 시작하며, 네트워킹은 사용할 수 없다.
- [시스템구성]은 [실행]에서 열기란에 'msconfig'를 입력하여 실행함
- 시작 모드 선택에서 '진단모드'가 기본 장치 및 서비스만 로드하여 windows를 시작하여 발생된 문제를 진단하는 데 유용함
- 선택모드 : 시스템 서비스로드, 시작항목 로드, 원래 부팅 구성 사용
18. 다음 중 Windows의 [폴더 옵션] 창에서 설정할 수 있는 작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탐색 창, 미리 보기 창, 세부 정보 창의 표시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② 숨김 파일이나 폴더의 표시 여부를 지정할 수 있다.
③ 폴더에서 시스템 파일을 검색할 때 색인의 사용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④ 알려진 파일 형식의 파일 확장명을 숨기도록 설정할 수있다.
풀이)
- 폴더 옵션에서는 파일이나 폴더의 보기형식, 검색방법등에 대한 설정을 변경한다.
- 1번은 Windows의 [파일 탐색기]-[보기]탭-[창]에서 선택 할 수 있다.
19. 다음 중 Windows의 백업과 복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특정한 날짜나 시간에 주기적으로 백업이 되도록 예약 할 수 있다.
② 백업에서 사용되는 파일의 확장자는 .bkf 이다.
③ 백업된 파일을 복원할 때 복원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④ 직접 선택한 폴더에 있는 알려진 시스템 폴더나 파일도 백업할 수 있다.
20. 다음 중 Windows의 작업 표시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작업 표시줄의 위치나 크기를 변경할 수 있으며, 크기는 화면의 1/2까지만 늘릴 수 있다.
② 작업 표시줄에 있는 단추를 작은 아이콘으로 표시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③ 작업 표시줄을 자동으로 숨길 것인지의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④ 작업 표시줄에 있는 시작 단추, 검색 상자(검색 아이콘), 작업 보기 단추의 표시 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풀이)
- 작업표시줄 좌측 기준으로 '시작단추-검색상자-작업보기단추'가 있으며 작업보기단추, 검색상자는 숨기기 가능하나 시작단추는 숨길 수 없음.
'IT자격증공부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퓨터활용능력 1급 필기 예상문제 #6(데이터베이스 일반) (0) | 2023.01.19 |
---|---|
컴퓨터활용능력 1급 필기 예상문제 #5(스프레드시트 일반) (0) | 2023.01.18 |
컴퓨터활용능력 1급 필기 예상문제 #3(데이터베이스 일반) (1) | 2023.01.17 |
컴퓨터활용능력 1급 필기 예상문제 #2(스프레드시트 일반) (0) | 2023.01.16 |
컴퓨터활용능력 1급 필기 예상문제 #1(컴퓨터일반) (0) | 2023.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