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 컴퓨터 일반
1. 다음 중 컴퓨터 및 정보기기에서 사용하는 펌웨어(Firmware)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주로 하드디스크의 부트 레코드 부분에 저장된다.
② 인터프리터 방식으로 번역되어 실행된다.
③ 운영체제의 일부로 입출력을 전담한다.
④ 소프트웨어의 업그레이드만으로도 기능을 향상시킬 수있다.
- 비휘발성 메모리인 ROM에 저장된 프로그램
- 하드웨어의 교체없이 소프트웨어의 업그레이드만으로 시스템의 성능을 높일 수 있음
- 하드웨어의 동작을 지시하는 소프트웨어이지만 하드웨어적으로 구성되어 하드웨어의 일부분으로 볼 수 있음
1. 하드웨어의 레코드 부분이 아니라 ROM 부분에 저장된다
2. 주로 컴파일러 방식으로 번역되어 실행
3. 입출력 전담 아님
2. 다음 중 수의 표현에 있어 진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16진수(Hexadecimal)는 0∼9까지의 숫자와 A∼F까지 문자로 표현하는 진법으로 한 자리수를 표현하는데 4개의 비트가 필요하다.
② 2진수, 8진수, 16진수를 10진수 실수(float)로 변환하려면 정수 부분과 소수 부분을 나누어서 변환하려는 각 진수의 자리값과 자리의 지수승을 곱한 결과값을 모두 더하여 계산한다.
③ 10진수(Decimal) 정수를 2진수, 8진수, 16진수로 변환하려면 10진수 값을 변환할 진수로 나누어 더 이상 나눠지지 않을 때까지 나누고, 몫을 제외한 나머지를 역순으로 표시한다.
④ 8진수를 16진수로 변환하려면 8진수를 뒤에서부터 2자리씩 자른 후 각각 16진수를 1자리로 계산한다.
풀이)
8진수를 16진수로 변환하는 방법
1. 8진수를 먼저 2진수로 변환함
2. 2진수를 뒤에서부터 4자리씩 자름(만약 소수점이 있는 경우는 정수 부분은 오른쪽부터, 소수부분은 왼쪽부터 4자리씩 자름)
3. 4자리에 가중치 8421을 적용시켜서 16진수를 1자리로 계산함
3. 다음 중 정보 보안을 위한 비밀키 암호화 기법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서로 다른 키로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복호화 한다.
② 암호화와 복호화의 속도가 빠르다.
③ 알고리즘이 단순하고 파일의 크기가 작다.
④ 사용자의 증가에 따라 관리해야 할 키의 수가 상대적으로 많아진다.
- 송신자와 수신자가 서로 동일(대칭)한 하나(단일)의 비밀키를 가짐
- 대칭키, 단일키라고도 함
- 대표적인 방식은 DES가 있음
- 장점 : 동일키로서 복호화 속도가 빠름 - 알고리즘이 단순 - 파일 크기 작음
- 단점 : 사용자 증가에 따라 관리해야 할 키 많아짐
공개키
- 공개키(비대칭키, 이중키)는 암호화키와 복호화키가 서로 다른 두 개의 키를 가짐
- 공개키는 암호화와 복호화의 속도가 느림
- 공개키는 이중키이므로 알고리즘이 복잡하고 파일의 크기가 큼
- 공개키는 암호화는 공개키로, 복호화는 비밀키로 함
- 공개키의 대표적인 방식으로는 RSA가 있음
4. 다음 중 시스템 보안을 위해 사용하는 방화벽(Firewall)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IP주소 및 포트번호를 이용하거나 사용자 인증을 기반으로 접속을 차단하여 네트워크의 출입로를 단일화 한다.
② '명백히 허용되지 않은 것은 금지한다'라는 적극적 방어 개념을 가지고 있다.
③ 방화벽을 운영하면 바이러스와 내/외부의 새로운 위험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④ 로그 정보를 통해 외부침입의 흔적을 찾아 역추적 할수 있다.
- 방화벽은 외부의 침입으로부터 내부의 정보 자산을 보호함
- 외부로부터 침입을 막을 수는 있지만 내부에서 일어나는 해킹은 막을 수 없으므로 내부의 새로운 위험에 대해서는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없음
5. 다음 중 Windows 운영체제에서의 백업과 복원에 관한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특정 날짜와 시간에 백업할 수 있도록 백업 주기를 예약할 수 있다.
② Windows에서 백업에 사용되는 파일의 확장자는 .bkf이다.
③ 백업 파일을 복원할 경우 복원 위치를 지정할 수 있다.
④ 여러 파일이 백업되어 있는 경우 원하는 파일을 선택하여 복원할 수 없다.
- 복구에서 PC 초기화 작업 시 선행 작업으로 디스크 정리와 최적화 작업을 수행하지 않아도 됨
- 시스템 오류 시 오류 원인 날짜 시간을 알고 있다면 해당 날짜 또는 원하는 백업 파일 복원
- 백업한 개별 파일, 파일 그룹 또는 전체 파일을 복원할 수 있다.
6. 다음 중 스마트폰을 모뎀처럼 활용하는 방법으로, 컴퓨터나 노트북 등의 IT 기기를 스마트폰에 연결하여 무선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은?
① 와이파이(WiFi) ② 블루투스(Bluetooth)
③ 테더링(Tethering) ④ 와이브로(WiBro)
풀이)
- 테더링(Tethering) : 인터넷이 가능한 스마트 기기의 통신 중계기 역할로 PC의 인터넷 접속을 가능하게 하고 모바일 데이터 연결을 공유함
- 와이파이(WiFi) : 일정 영역의 공간에서 무선 인터넷의 사용이 가능한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
- 블루투스(Bluetooth) : 무선 긱 간 정보 전송을 목적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접속 프로토콜
- 와이브로(WiBro) : 무선과 광대역 인터넷이 통합된 것으로 휴대폰 단말디로 정지 및 이동 중에 인터넷 접속이 가능함
7. 다음 중 네트워크 관련 장비로 브리지(Bridge)에 관한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OSI 참조 모델의 데이터 링크 계층에 속한다.
② 두 개의 근거리통신망을 상호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망 연결 장치이다.
③ 통신 프로토콜을 변환하여 네트워크를 확장한다.
④ 통신량을 조절하여 데이터가 다른 곳으로 가지 않도록 한다.
- 브리지(Bridge)는 독립된 두 개의 근거리 통신망(LAN)을 연결하는 접속 장치로 통신 프로토콜을 변환하지 않고 네트워크를 확장 함
- 게이트웨이는 서로 다른 구조와 환경으로 구성된 네트워크 간에 프로토콜을 변환하여 정보를 주고 받도록 조정해 주는 하드웨어 장치로서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관문, 통로 역할을 한다.
8. 다음 중 인터넷 기반 기술을 이용하여 기업들이 외부 보안을 유지한 상태에서 협력 업체 간의 효율적인 업무처리를 위해 사용하는 네트워크로 옳은 것은?
① 인트라넷(Intranet)
② 원거리 통신망(WAN)
③ 엑스트라넷(Extranet)
④ 근거리 통신망(LAN)
- 익스트라넷(Extranet) : 기업과 기업간에 인트라넷을 서로 연결하여 납품 업체나 고객 업체 등 자기 회사와 관련 있는 기업체와의 원활한 통신을 위해 인트라넷의 이용 범위를 확대한 것
- 인트라넷(Interanet) : 인터넷 기술을 기업 내 정보 시스템에 적용한 것으로 전자우편 시스템, 전자결재 시스템 등을 인터넷 환경으로 통합하여 사용 하는 것
- 원거리 통신망(WAN) : 광역통신망이라고도 하며 하나의 국가 등 매우 넓은 네트워크 범위를 갖는 통신망
- 근거리 통신망(LAN) : 수 km 이내의 거리(한 건물이나 지역)에서 데이터 전송을 목적으로 연결된 통신망
9. 다음 중 TCP/IP 프로토콜에서 IP 프로토콜의 개요 및 기능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메시지를 송/수신자의 주소와 정보로 묶어 패킷 단위로 나눈다.
② 패킷 주소를 해석하고 경로를 결정하여 다음 호스트로 전송한다.
③ 전송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의 에러를 검사한다.
④ OSI 7계층에서 전송 계층에 해당한다.
- IP(internet Protocol) : OSI 7계층 중 네트워크 계층에 해당하며 패킷 주소를 해석하고 경로를 결정하여 다음 호스트로 전송함
-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
- OSI 계층 중 전송계층에 해당한다.(transport - T)
- 전송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하고 데어터의 에러를 감시한다.(제어(control) - C)
- 메시지를 송/수신자의 주소와 정보로 묶어 패킷 단위로 나눈다.(패킷 - P)
10. 다음 중 디지털 콘텐츠의 생성·거래·전달·관리 등 전체 과정을 관리할 수 있는 기술로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의 MPEG 표준은?
① MPEG-1 ② MPEG-3
③ MPEG-7 ④ MPEG-21
풀이)
- MPEG-21: MPEG 기술을 통합한 디지털 콘텐츠의 제작, 유통, 보안 등 모든 과정을 관리할 수 있는 규격
- MPEG-1 : 비디오 CD나 CD-1의 규격, 저장 매체나 CD 재생의 용도로 이용함
- MPEG_3 : HDTV 방송(고선명도의 화질)을 위해 고안되었으나 MPEG-2 표준에 흡수, 통합되어 현재는 존재하지 않는 규격임
- MPEG-7 : 인터넷상에서 멀티미디어 동영상의 정보 검색이 가능, 정보 검색 등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콘텐츠 저장 및 검색을 위한 표준
- MPEG-2 : ISO 13818로 규격화된 영상 압축 기술, MPEG-1의 화질 개선을 위한 것
11. 다음 중 GIF 파일 형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인터넷 표준 그래픽 형식으로, 8비트 컬러를 사용하여 256색만 지원한다.
② 간단한 애니메이션 표현이 가능하다.
③ 색상의 무손실 압축 기술을 사용한다.
④ 벡터 방식으로 이미지를 표현한다.
- 비트맵방식 : 점(화소)으로 구성, 확대시 계단 모양(앨리러싱)
- 벡터방식 : 점과 점을 연결하는 직선이나 곡선으로 구성, 확대시 매끄럽게 처리된다.
- 비트맵(Bitmap) : BMP, JPG, PCX, TIF, PNG, GIF 등
- 벡터(Vector) 방식 : WMF, AI, CDR 등
- JPG(JPEG, 정지영상 압축 표준기술) : 트루컬러(24비트)지원, GIF에 비해 압축률이 높고, 손실압축기법(이론적으로 비손실 가능)
- BMP : 압축 지원하지 않아 용량이 크다는 단점
- PNG : 투명도조절, JPG의 다양한 색상과 GIF의 투명효과 등의 장점만을 통합
- GIF : 8비트(256컬러)지원, 데이터 압출률 우수(무손실 압축), 투명도, 움직이는 애니메이션 기능 제공
12. 다음 중 Windows의 [제어판] - [장치 및 프린터]에 표시되지 않는 것은?
① 사용자 컴퓨터
②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와 사운드 카드
③ 컴퓨터의 USB 포트에 연결하는 모든 장치
④ 컴퓨터에 연결된 호환 네트워크 장치
풀이)
사운드, 비디오 및 게임컨트롤러 등은 [장치관리자]에서 확인할 수 있음
13. 다음 중 컴퓨터의 제어장치에 있는 부호기(Encoder) 레지스터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명령 레지스터에 있는 명령어를 해독한다.
② 해독된 명령어에 따라 각 장치로 보낼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③ 다음 순서에 실행할 명령어의 주기억장치 주소를 기억 한다.
④ 뺄셈연산을 위해 음수로 변환한다.
- 부호기(Encoder) : 명령 해독기에서 전송된 명령어를 제어에 필요한 신호로 변환하는 회로
- 명령해독기(instruction Decoder) : 명령레지스터에 있는 명령어를 해독한다.
- 프로그램카운터( Program Counter) : 다음 순서에 실행할 명령어의 주기억장치 주소를 기억한다.
- 보수기(Complement) : 뺄셈 연산을 위해 음수로 변환한다.
14. 다음 중 Windows에서 바로 가기 아이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바로 가기 아이콘을 실행하면 연결된 원본 파일이 실행 된다.
② 파일, 폴더뿐만 아니라 디스크 드라이브나 프린터에도 바로 가기 아이콘을 만들 수 있다.
③ 일반 아이콘과 비교하여 왼쪽 아랫부분에 화살표가 포함되어 표시된다.
④ 하나의 바로 가기 아이콘에 여러 개의 원본 파일을 연결할 수 있다.
풀이)
- 하나의 바로가기 아이콘에는 하나의 원본 파일만 연결할 수 있다.
- 하나의 원본 파일에 대해 여러 개의 바로 가기 아이콘을 만들 수 있다.
15. 다음 중 Windows에서 파일이나 폴더, 프린터, 드라이브 등 컴퓨터 자원의 공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공유 폴더에 대한 접근 권한은 사용자에 따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② 탐색기의 주소 표시줄에 '\\localhost'를 입력하면 네트워크를 통해 공유한 파일이나 폴더를 확인할 수있다.
③ 탐색기의 공유 기능을 이용하면 파일이나 폴더를 쉽게 다른 사용자와 공유할 수 있다.
④ 공유한 파일명 뒤에 '$'를 붙이면 네트워크의 다른 사용자가 해당 파일을 사용하고 있는지 여부를 바로 확인할 수 있다.
16. 다음 중 출력장치인 디스플레이 어댑터와 모니터에 관련된 용어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픽셀(Pixel): 화면을 이루는 최소 단위로서 같은 크기의 화면에서 픽셀 수가 많을수록 해상도가 높아진다.
② 해상도(Resolution): 모니터 화면의 픽셀 수와 관련이 있으며 픽셀 수가 많을수록 표시할 수 있는 색상의 수가 증가한다.
③ 점 간격(Dot Pitch): 픽셀들 사이의 공간을 나타내는 것으로 간격이 가까울수록 영상은 선명하다.
④ 재생률(Refresh Rate): 픽셀들이 밝게 빛나는 것을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재생률이 높을수록 모니터의 깜빡임이 줄어든다.
- 해상도는 얼마나 선명하게 표현할 수 있느냐를 나타내는 단위로, 픽셀의 수에 따라 결정되는것임
- 픽셀의 수가 많다고 색상의 수가 증가하는것은 아니다
- 픽셀 (pixel, 화소): 모니터 화면을 구성하는 가장 작은 단위.
- 표현가능한 색상수는 픽셀의 비트수로 결정됨 (1비트:2색, 8비트:256색, 24비트=16,777,216색)
17. 다음 중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기억장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플래시(Flash) 메모리는 비휘발성 기억장치로 주로 디지털 카메라나, MP3, 개인용 정보 단말기, USB 드라이브 등 휴대용 기기에서 대용량 정보를 저장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② 하드디스크 인터페이스 방식은 EIDE, SATA, SCSI 방식 등이 있다.
③ 캐시(Cache) 메모리는 CPU와 주기억장치 사이에 위치하여 두 장치간의 속도 차이를 줄여 컴퓨터의 처리 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한 메모리이다.
④ 연관(Associative) 메모리는 보조기억장치를 마치 주기억장치와 같이 사용하여 실제 주기억 장치 용량보다 기억용량을 확대하여 사용하는 방법이다.
풀이)
- 연관메모리(Associative) : 저장된 내용의 일부를 이용하여 기억 장치에 접근하여 데이터를 읽어오는 기억장치
- 보조기억장치 : 주기억장치와 같이 사용하여 실제 주기억 장치 용량보다 기억용량을 확대하여 사용하는 방법이다.
18. 다음 중 패치(Patch) 버전 소프트웨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정식으로 대가를 지불하고 사용하는 소프트웨어이다.
② 홍보용으로 사용 기간이나 기능에 제한을 둔 소프트웨어이다.
③ 오류 수정이나 성능 향상을 위해 프로그램 일부를 변경해주는 소프트웨어이다.
④ 정식 프로그램 출시 전에 테스트용으로 제작되어 일반인에게 공개하는 소프트웨어이다.
풀이)
- 상용 소프트웨어 : 정식으로 대가를 지불하고 사용하는 소프트웨어이다.
- 데모버전 : 홍보용으로 사용 기간이나 기능에 제한을 둔 소프트웨어이다.
- 패치버전 : 오류 수정이나 성능 향상을 위해 프로그램 일부를 변경해주는 소프트웨어이다.
- 베타버전 : 정식 프로그램 출시 전에 테스트용으로 제작되어 일반인에게 공개하는 소프트웨어이다.
- 소프트웨어 분류
셰어 웨어 : 기능이나 사용기간에 제한을 둠. 구입유도
프리 웨어 : 무료로 사용가능. 인터넷을 통한 배포
공개 소프트웨어 : 개발자가 소스 공개. 수정 및 배포 가능
알파 버전 : 베타 테스트 전 회사 내에서 테스트 목적으로 제작
베타 버전 : 정식 프로그램 출시 전 테스트 목적으로 일반인에게 공개
패치 버전 : 이미 배포된 프로그램의 오류 수정 및 성능 향상을 위해 일부 파일 변경
애드 웨어 : 광고를 보는 대가로 사용
번들 :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구입 시 무료로 끼워줌.
19. 다음 중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압축 프로그램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압축한 파일을 모아 재압축을 반복하면 파일 크기를 계속 줄일 수 있다.
② 여러 개의 파일을 압축하면 하나의 파일로 생성되어 파일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③ 대부분의 압축 프로그램에는 분할 압축이나 암호 설정 기능이 있다.
④ 파일의 전송시간과 비용을 절약하고, 디스크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풀이)
- 압축한 파일을 재압축하면 크기에 변화 거의 없다.
20. 다음 중 Windows에서 바탕 화면의 바로 가기 메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바탕 화면에서 <Shift> + <F10> 키를 누르면 바로 가기 메뉴가 표시된다.
② 바탕 화면에 폴더나 텍스트 문서, 압축 파일 등을 새로 만들 수 있다.
③ 삭제된 컴퓨터, 휴지통, 네트워크 등의 바탕 화면 아이콘을 다시 표시할 수 있다.
④ 아이콘의 정렬 기준을 변경하거나 아이콘의 크기를 변경하여 볼 수 있다.
풀이)
- 바탕화면 바로가기 메뉴에서 가능한 것: 새폴더 만들기, 보기, 정렬기준, 새로만들기
새폴더: 새폴더 만들기
보기: 아이콘의 크기 변경(큰 아이콘, 보통 아이콘, 작은 아이콘)
정렬 기준: 아이콘 정렬하는 기준 나열(이름, 크기, 항목 유형, 수정날짜)
새로 만들기: 바탕화면에 여러가지 만들기(폴더, 바로가기, 문서, 압축파일)
삭제된 컴퓨터, 휴지통, 네트워크 등은 바탕화면 바로가기메뉴에는 없음
'IT자격증공부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퓨터활용능력 1급 필기 예상문제 #4(컴퓨터 일반) (0) | 2023.01.17 |
---|---|
컴퓨터활용능력 1급 필기 예상문제 #3(데이터베이스 일반) (1) | 2023.01.17 |
컴퓨터활용능력 1급 필기 예상문제 #2(스프레드시트 일반) (0) | 2023.01.16 |
컴퓨터활용능력1급 필기-접수하는 법 (0) | 2023.01.14 |
Java simple serve client 예제 (0) | 2022.10.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