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자격증공부방

컴퓨터 활용능력 1급 필기 컴퓨터일반 #16

1. 다음 중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운영체제의 목적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처리능력(Throughput) 증가

   ② 반환시간(Turnarround) 증가

   ③ 신뢰도(Reliability) 증가

   ④ 사용 가능도(Availablity) 증가

풀이)

  • 반환시간(응답시간)은 감소되어야 한다.

2. 운영체제는 사용자 편의성과 시스템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다음 중 운영체제의 목적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처리능력 증대

   ② 신뢰도 향상

   ③ 응답시간 단축

   ④ 파일 전송

 

풀이)

  • 운영체제는의 목적은 파일 전송이 아니다
  • 파일전송 : ftp프로토콜의 기능

3.  다음 중 한글 Windows에서 사용하는 바로 가기 키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Alt] + [Enter] : 선택된 개체의 속성 창을 표시한다.

② [Shift] + [F10] : 선택한 항목에 대한 바로 가기 메뉴를 표시한다.

③ [Ctrl] + [Tab] : 실행 중인 여러 프로그램에서 활성화 전환을 한다.

④ [Ctrl] + [Esc] : 시작 화면을 표시한다.

 

풀이)

4. 다음 중 한글 Windows에서 사용하는 바로 가기 키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윈도우로고키] + [L] : 컴퓨터 잠금

   ② [윈도우로고키] + [R] : 실행 대화상자 열기

   ③ [윈도우로고키] + [Pause] : 설정의 [시스템] 정보 표시

   ④ [윈도우로고키] + [E] : 장치 및 프린터 추가

풀이)

 5. 다음 중 휴지통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플로파ㅣ디스크, USB 메모리, 네트워크 상에서 삭제된 경우는 휴지통에 보관되지 않고 영구적으로 삭제된다.

   ② 하드 디스크가 분할되어 있거나 컴퓨터에 여러 개의 하드 디스크를 가지고 있는 경우 각 휴지통의 크기를 다르게 지정할 수 있다.

   ③ 휴지통 내에 보관된 파일은 바로 사용할 수 없다.

   ④ [Shift] + [Delete]로 파일을 삭제하면 해당하는 파일이 휴지통에 일시적으로 저장되어 복원시킬 수 있다.

 

풀이)

6. 다음 중 Windows에서 사용하는 [휴지통]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명령 프롬프트] 창에서 삭제한 파일은 휴지통과 관계 없이 영구히 삭제된다.

  ② 휴지통의 크기는 각각의 드라이버마다 다르게 지정할 수 있다.

  ③ USB 드라이버에서 삭제한 파일은 휴지통에서 복원 메뉴로 복원 할 수 있다.

  ④ 휴지통의 최대 크기는 [휴지통 속성] 창에서 변경 할 수 있다.

 

풀이)

7. 다음 중 Windows에서 [사용자계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관리자 계정은 모든 파일에 접근이 가능하다.

  ② 관리자 계정은 다른 사용자 계정을 변경 할  수 있다.

  ③ 표준 사용자 계정에서 컴퓨터 작동에 필요한 파일은 삭제할 수 없다.

  ④ 표준 사용자 계정은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 설치 및 보안 설정 등을 수행 할 수 있다.

 

풀이)

  • 관리자 계정에서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 설치 및 보안 설정 등을 수행 할 수 있음

8. 다음 중 Windows에서 [설정]의 [시스템]-[정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Windows의 버전과 CPU의 종류, RAM의 크기를 직접 변경할 수 있다.

  ② 현재 설정 되어 있는 PC의 이름을 변경 할 수 있다.

  ③ 컴퓨터 시스템의 종류와 제품 ID를 확인 할 수 있다.

  ④ Windows의 정품 인증을 받을 수 있다.

 

풀이)

 9. 다음 중 네트워크와 관련하여 Ping 서비스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인터넷의 기원, 구성, 사용 가능한 인터넷 서비스 등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② 웹 브라우저와 웹 브라우저 사이의 정보 전달을 위한 인터 페이스를 제공해 주는 서비스이다.

  ③ DNS가 가지고 있는 특정 도메인의 IP 주소를 검색해 주는 서비스이다.

  ④ 지정된 호스트에 대해 네트워크층의 통신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서비스이다.

 

풀이)

 10. 다음 중 인터넷 서버까지의 경로를 추적하는 명령어인 'Tracert'의 실행 결과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IP 주소, 목적지까지 거치는 경로의 수, 각 구간 사이의 데이터 왕복 속도를 확인 할 수 있다.

② 특정 사이트가 열리지 않을 때 해당 서버가 문제인지 인터넷망이 문제인지 확인 할 수 있다.

③ 인터넷 속도가 느릴 때 어느 구간에서 정체를 일으키는지 확인 할 수 있다.

④ 현재 자신의 컴퓨터에 연결된 다른 컴퓨터의 IP 주소나 포트 정보를 확인 할  수 있다.

 

풀이)

  • arp나 nbtstat 명령어를 이용하여 현재 자신의 컴퓨터에 연결된 다른 컴퓨터의 IP 주소나 포트 정보를 확인 할 수 있음

 11. 다음 중 컴퓨터에서 데이터를 표현하기 위한 코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EBCDIC 코드는 4개의 Zone 비트와 4개의 Digit 비트로 구성되며, 256개의 문자를 표현할 수 있다.

   ② 표준 BCD 코드는 2개의 Zone비트와 4개의 Digit 비트로 구성되며, 영문 대문자와 소문자를 포함하여 64개의 문자를 표현할 수 있다.

   ③ 해밍 코드(Hamming Code)는 잘못된 정보를 체크하고 오류를 검출하여 다시 교정할 수 있는 코드이다.

   ④ 유니코드는(Unicode)는 전 세계의 모든 문자를 2바이트로 표현하는 국제 표준 코드이다.

 

풀이)

12. 다음 중 컴퓨터에서 문자를 표현하는 코드 체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BCD 코드 : 64가지의 문자를 표현할 수 있으나 영문 소문자는 표현 불가능하다.

  ② Unicode : 세계 각국의 언어를 4바이트 체계로 통일한 국제 표준 코드이다.

  ③ ASCII 코드 : 128가지의 문자를 표현할 수 있으며, 주로 데이터 통신용이나 PC에서 많이 사용된다.

  ④ EBCDIC 코드 : BCD 코드를 확장한 코드 체계로 256 가지의 문자를 표현 할 수 있다.

 

풀이)

  • Unicode : 세계 각국의 언어를 2바이트 체계로 통일한 국제 표준 코드이다.

 13. 다음 중 프로그램 수행에 있어서 다음 순서에 실행할 명령어의 주소를 지정하는 레지스터는?

   ① 주소레지스터(MAR)

   ② 프로그램카운터(PC)

   ③ 명령어레지스터(IR)

   ④ 버퍼레지스터(MBR)

풀이)

14. 다음 중 컴퓨터의 제어 장치에 있는 레지스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다음 번에 실행할 명령어의 번지를 기억하는 프로그램 계수기(PC)가 있다.

   ② 현재 실행 중인 명령어를 기억하는 명령 레지스터(IR)가 있다.

   ③ 명령 레지스터에 있는 명령어를 해독하는 명령 해독기(Decoder)가 있다.

   ④ 해독된 데이터의 음수 부호를 검사하는 부호기(Encoder)가 있다.

풀이)

  • 부호기(Encoder) : 명령 해독기에서 전송된 명령어를 제어에 필요한 신호로 변환하는 회로

15. 다음 중 컴퓨터의 연산장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연산장치가 수행하는 연산에는 산술, 논리, 관계, 이동(Shift) 연산 등이 있다.

   ② 연산 장치에는 뺄셈을 수행하기 위하여 입력된 값을 보수로 변환하는 보수기(Complementer)와 2진수 덧셈을 수행하는 가산기(Adder)가 있다.

   ③ 누산기(Accmulator)는 연산된 결과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레지스터이다.

   ④ 연산 장치에는 다음 번 연산에 필요한 명령어의 번지를 기억하는 프로그램 카운터(Program Counter)를 포함 한다.

풀이)

16. 다음 중 CPU가 프로그램의 명령어를 수행하는 중에 산술 및 논리 연산의 결과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레지스터로 옳은 것은?

   ① 주소 레지스터(MAR)                        ② 누산기(AC)

   ③ 명령어 레지스터(IR)                         ④ 프로그램 카운터(PC)

풀이)

  • 누산기(AC) : 산술 및 논리 연산의 결과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레지스터
  • 명령어레지스터, 프로그램카운터는 제어장치에 나오는 레지스터임

17. 다음 중 RAM(Random Access Memory)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주로 펌웨어(Firmware)를 저장한다.

   ② 주기적으로 재충전(Refresh)이 필요한 DRAM은 주기억 장치로 사용된다.

   ③ 전원이 꺼져도 기억된 내용이 사라지지 않는 비휘발성 메모리로 읽기만 가능하다.

   ④ 컴퓨터의 기본적인 입출력 프로그램, 자기진단 프로그램 등이 저장되어 있어 부팅 시 실행된다.

풀이)

18. 다음 중 컴퓨터의 내부 기억 장치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RAM은 일시적으로 전원 공급이 없더라도 내용은 계속 기억된다.

   ② SRAM이 DRAM보다 접근 속도가 느리다.

   ③ 주기억 장치의 접근 속도 개선을 위하여 가상메모리가 사용된다.

   ④ ROM에는 BIOS, 기본글꼴, POST 시스템 등이 저장 되어 있다.

 

풀이)

  • ROM은 일시적으로 전원 공급이 없더라도 내용은 계속 기억된다.
  • SRAM이 DRAM보다 접근 속도가 빠르다.

19. 다음 중 컴퓨터의 기억 장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캐시 메모리(Cache Memory)는 CPU와 주기억장치 사이에 위치하여 컴퓨터의 처리 속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며 주로 동적 램(DRAM)을 사용한다.

   ② 가상메모리(Virtual Memory)는 하드디스크의 일부를 주기억장치처럼 사용하는 것으로 주기억 장치보다 큰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다.

   ③ 버퍼 메모리(Buffer Memory)는 두 개의 장치가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 생기는 속도 차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중간에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해 두는 공간이다.

   ④ 연관 메모리(Associative Memory)는 저장된 내용의 일부를 이용하여 기억 장치에 접근하여 데어터를 읽어 오는 기억 장치이다.

풀이)

20. 다음 중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기억 장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플래시(Flash) 메모리는 비휘발성 기억 장치로 주로 디지털카메라나 MP3, 개인용 정보 단말기, USB 드라이브 등 휴대용 기기에서 대용량 정보를 저장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② 하드디스크 인터페이스 방식은 EIDE, SATA, SCSI 방식 등이 있다.

   ③ 캐시(Cache) 메모리는 CPU와 주기억장치 사이에 위치하여 두 장치 간의 속도 차이를 줄여 컴퓨터의 처리 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한 메모리이다.

   ④ 연관(Associative Memory) 메모리는 보조 기억 장치를 마치 주기억장치와 같이 사용하여 실제 주기억 장치 용량보다 기억 용량을 확대하여 사용하는 방법이다.

풀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