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 다음 중 폼이나 보고서의 특정 컨트롤에서 '=[단가]*[수량]*(1-[할인률])'과 같은 계산식을 사용하고, 계산 결과를 소수점 이하 첫째자리까지 표시하고자 할 때 사용 해야 할 함수는?
① Str( ) ② Val( )
③ Format( ) ④ DLookUp( )
풀이)
- 1.Str: 입력한 데이터를 문자열로 변환
2.Val: 입력한 데이터를 숫자로 변환
4.DLookUp: 조건에 만족하는 필드값을 구한다 - 엑셀에서는 TEXT 함수가 있다면 엑세스에서는 Format 함수가 있습니다..
Format 함수로 이용하여 계산식 사용을 한 뒤에 소수점 이하 첫째자리까지 표시를 한다고 하면 컨트롤 속성 시트 에서 컨트롤 원본에 다가 다음과 같은 형태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Format([단가]*[수량]*(1-[할인률]),"0.0")
42. 다음 중 참조 무결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참조 무결성은 참조하고 참조되는 테이블 간의 참조 관계에 아무런 문제가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
② 다른 테이블을 참조하는 테이블 즉, 외래 키 값이 있는 테이블의 레코드 삭제 시에는 참조 무결성이 위배될 수 있다.
③ 다른 테이블을 참조하는 테이블의 레코드 추가 시 외래 키 값이 널(Null)인 경우에는 참조 무결성이 유지된다.
④ 다른 테이블에 의해 참조되는 테이블에서 레코드를 추가하는 경우에는 참조 무결성이 유지된다.
풀이)
- - 참조무결성은 외래키하고 관련이 있습니다.
- 참조무결성은 참조하고 참조되는 (부모테이블과 자식테이블 간) 테이블 간 관계가 아무런 문제가 없어야 합니다..
- 다른 테이블을 참조하는 테이블의 경우 기본키 값이 있는 테이블의 레코드 삭제 시에는 참조 무결성이 위배될 수 있습니다..
참조하는 테이블의 기본키는 삭제하면 안됩니다..외래키 값이 있는 것들은 상관없습니다.
- 다른 테이블을 참조하는 테이블의 레코드 추가 시 외래 키 값이 널(Null)인 경우에는 유지됩니다..
참조무결성은 널(Null) 이 와도 상관없습니다.
- 다른 테이블에 의해 참조되는 테이블에서 레코드를 추가하는 경우는 참조 무결성이 유지됩니다.
43. 다음 중 그룹화된 보고서의 그룹 머리글과 그룹 바닥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그룹 머리글은 각 그룹의 첫 번째 레코드 위에 표시된다.
② 그룹 바닥글은 각 그룹의 마지막 레코드 아래에 표시된다.
③ 그룹 머리글에 계산 컨트롤을 추가하여 전체 보고서에 대한 요약 값을 계산할 수 있다.
④ 그룹 바닥글은 그룹 요약과 같은 항목을 나타내는데 효과적이다.
- 그룹의 요약정보는 그룹 머리글/바닥글.
전체 보고서에 대한 요약값은 보고서 바닥글에 표시
44. 다음 중 하나의 필드에 할당되는 크기(바이트 수 기준)가 가장 작은 데이터 형식은?
① Yes/No ② 날짜/시간
③ 통화 ④ 일련 번호
풀이)
- yes/no <바이트 <정수 <정수(long) <날짜/시간 <통화 <복제ID
- 1.Yes/No : 1비트
2.날짜/시간: 8바이트
3.통화 : 8바이트
4.일련 번호: 4바이트
45. 다음 중 기본 키(Primary Key)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모든 테이블에는 기본 키를 반드시 설정해야 한다.
② 액세스에서는 단일 필드 기본 키와 일련번호 기본 키만 정의 가능하다.
③ 데이터가 이미 입력된 필드도 기본 키로 지정할 수 있다.
④ OLE 개체나 첨부 파일 형식의 필드에도 기본 키를 지정할 수 있다.
풀이)
- - 기본키는 개체무결성과 관련이 있습니다..
- 기본키는 주키, 주식별자, Primary Key 라고도 불립니다.
- 기본키는 후보키 들 중에서 특별하게 선정이 된 키를 의미하구요,
꼭 모든 테이블에 기본키를 반드시 설정해야 할 필요는 없습니다..
- 데이터가 이미 입력된 필드도 기본 키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 테이블의 레코드 값이 중복되어 있는 경우에는 기본키를 2개 이상 지정을 하여
복합키(Composit Key) 로 구성하여 지정해주는 경우도 있습니다.
- OLE 개체나 첨부 파일 형식의 필드, 메모 형식에는 기본키를 지정할 수 없습니다.
46. 다음 중 폼을 디자인 보기나 데이터시트 보기로 열기위해 사용하는 매크로 함수는?
① RunCommand ② OpenForm
③ RunMacro ④ RunSQL
풀이)
- 폼을 디자인 보기나 데이터시트 보기로 쓰기 위해서는 OpenForm 함수를 사용하죠
RunCommand : 액세스의 명령을 실행
RunMacro : 액세스의 매크로 실행
RunSQL : 액세스의 SQL구문 실행
47. 다음 중 직원(사원번호, 부서명, 이름, 나이, 근무년수, 급여) 테이블에서 '근무년수'가 3 이상인 직원들을 나이가 많은 순서대로 조회하되, 같은 나이일 경우 급여의 오름 차순으로 모든 필드를 표시하는 SQL문은?
① select * from 직원 where 근무년수 >= 3 order by 나이, 급여
② select * from 직원 order by 나이, 급여 where 근무 년수 >= 3
③ select * from 직원 order by 나이 desc, 급여 asc where 근무년수 >= 3
④ select * from 직원 where 근무년수 >= 3 order by 나이 desc, 급여 asc
- 기본적으로 형식은 select - where - order by 형식이고 이 형식은 오름차순, 내림차순을 나타내는 형식이다
그럼 2,3번은 제외이고 오름차순,내림차순을 설정 안하면 기본적으로 오름차순으로 설정된다
나이가 많은 순서대로면 위에서부터 많은 순서대로니 내림차순이 적용되는데 1번은 오름차순,내림차순 적용이 안돼있어 기본적으로 오름차순 적용이다 그래서 1번도 제외이고 4번이 나이는 내림차순(desc), 급여는 오름차순이랬으니 오름차순(asc)으로 설정해주거나 생략할 수 있겠다. - select*: 모든 필드 검색
from 직원: 직원 테이블에서 검색
Where 근무년수 >= 3: 3년 이상
Order by 나이 desc(내림차순), 급여 asc(오름차순)
48. 다음 중 하위 폼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하위 폼은 기본 폼 내에서만 존재하며 별도의 독립된 폼으로 열 수 없다.
② 일대다 관계가 설정되어 있는 테이블이나 쿼리를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③ 하위 폼은 보통 일대다 관계에서 '다'에 해당하는 테이블이나 쿼리를 원본으로 한다.
④ 연결 필드의 데이터 형식과 필드 크기는 같거나 호환되어야 한다.
- 기본적으로 기본 폼과 하위 폼 간에는 관계가 설정되어 있어야 하지만 기본 폼과 관계가 설정되어 있지 않아도 하위 폼을 설정 할 수 있다.
-기본 폼이 기본키를 가진 테이블을 사용
-하위 폼이 기본 폼의 기본키 필드와 같거나 호환되는 데이터 형식을 가진 필드가 포함된 테이블을 사용. - 기본폼안에 하위폼을 만들 수 있고 그 하위폼 안에 하위폼을 계속해서 만들 수 있다.
49. 다음 중 현재 폼에서 'cmd숨기기' 단추를 클릭하는 경우, DateDue 컨트롤이 표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이벤트 프로시저로 옳은 것은?
① Private Sub cmd숨기기_Click( )
Me.[DateDue]!Visible = False
End Sub
② Private Sub cmd숨기기_DblClick( )
Me!DateDue.Visible = True
End Sub
③ Private Sub cmd숨기기_Click( )
Me![DateDue].Visible = False
End Sub
④ Private Sub cmd숨기기_DblClick( )
Me.DateDue!Visible = True
End Sub
풀이)
- 'cmd숨기기' 단추를 클릭하는 경우 → cmd숨기기+Click()
- DateDue 컨트롤이 표시되지 않도록 → Me![DateDue].Visible = False
- ! : 실핼 중인 폼이나 보고서 또는 컨트롤을 참조하기 위해서는 느낌표(!) 연산자를 사용함
- [ ]: 테이블이나 쿼리, 폼, 보고서, 필드, 컨트롤의 이름은 대괄호[ ]로 묶어서 표현함
- . : 폼, 보고서, 컨트롤의 속성을 참고할 때는 점(.) 연산자를 사용함
50. 다음 중 크로스탭 쿼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쿼리 결과를 Excel 워크시트와 비슷한 표 형태로 표시하는 특수한 형식의 쿼리이다.
② 맨 왼쪽에 세로로 표시되는 행 머리글과 맨 위에 가로 방향으로 표시되는 열 머리글로 구분하여 데이터를 그룹화한다.
③ 그룹화한 데이터에 대해 레코드 개수, 합계, 평균 등을 계산할 수 있다.
④ 열 머리글로 사용될 필드는 여러 개를 지정할 수 있지만, 행 머리글로 사용할 필드는 하나만 지정할 수 있다.
- 행머리글은 3개까지 지정할 수 있고, 열머리글이나 값은 각각 하나씩만 지정할 수 있다.
51. 다음 중 실행 쿼리의 삽입(INSERT)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한 개의 INSERT문으로 여러 개의 레코드를 여러 개의 테이블에 동일하게 추가할 수 있다.
② 필드 값을 직접 지정하거나 다른 테이블의 레코드를 추출하여 추가할 수 있다.
③ 레코드의 전체 필드를 추가할 경우 필드 이름을 생략할 수 있다.
④ 하나의 INSERT문을 이용해 여러 개의 레코드와 필드를 삽입할 수 있다.
- 삽입(INSERT)문
-테이블에 레코드를 추가할 때 사용
-값을 직접 지정하여 추가할 수 있고, 다른 테이블의 레코드를 추출하여 추가할 수 있음.
직접입력해서 추가
INSERT INTO 테이블이름(필드이름1,필드이름2,...)
VALUES(필드값1,필드값2...)
테이블로부터 추가
INSERT INTO 테이블이름(필드이름1,필드이름2...)
SELECT 필드이름
FROM 테이블이름
WHERE 조건
-여러개의 레코드를 동시에 추가할 수 있지만 한 번에 하나의 테이블에만 추가가능.
-레코드의 전체 필드를 추가할 경우에는 필드 이름을 생략할 수 있다. - 1.여러개의 레코드를 동시에 추가할 수 있지만 여러개의 테이블에 추가할 수 없음.
52. 다음 중 쿼리에서 사용하는 문자열 조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수학" or "영어" : "수학" 이나 "영어" 인 레코드를 찾는다.
② LIKE "서울*" : "서울"이라는 문자열로 시작하는 필드를 찾는다.
③ LIKE "*신림*" : 문자열의 두번째가 "신"이고 세번째가 "림"인 문자열을 찾는다.
④ NOT "전산과" : 문자열의 값이 "전산과"가 아닌 문자 열을 찾는다.
풀이)
- * : 모든 문자를 대표 (? : 한자리 문자를 대표)
3. LIKE "?신림?" : 문자열의 두번째가 "신"이고 세번째가 "림"인 문자열을 찾는다.
3. Like "*신림*" : "신림"이라는 단어를 포함하는 문자열을 찾습니다.
53. 입사 지원자의 정보를 DB화 하기 위해 테이블을 설계하고자 한다. 다음 중 한명의 지원자가 여러 개의 이력이나 경력 사항을 갖는 경우 가장 적절한 테이블 구조는?
① 지원자(지원자ID, 이름, 성별, 생년월일, 연락처) 경력(경력ID, 회사, 직무, 근무기간)
② 지원자(지원자ID, 이름, 성별, 생년월일, 연락처) 경력(경력ID, 지원자ID, 회사, 직무, 근무기간)
③ 지원자(지원자ID, 이름, 성별, 생년월일, 연락처, 회사, 직무, 근무기간)
④ 지원자(지원자ID, 이름, 성별, 생년월일, 연락처, 회사1, 직무1, 근무기간1, 회사2, 직무2, 근무기간2, 회사3, 직무3, 근무기간3)
- 입사지원자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기 위해 테이블 설계를 하려고 합니다.
한 명의 지원자가 여러 개 이력이나 경력 사항을 갖는 경우 테이블 구조는 다음과 같습니다.
지원자 테이블 (기본키는 지원자ID)
지원자ID, 이름, 성별, 생년월일, 연락처
경력 테이블 (기본키는 경력ID, 외래키는 지원자ID)
경력ID, 지원자ID, 회사, 직무, 근무기간
54. 다음 중 동아리 회원 목록을 표시하는 [동아리회원] 폼에서 아래 그림과 같이 여자 회원인 경우 본문 영역의 모든 컨트롤들의 글꼴 서식을 굵게, 기울임꼴로 표시하는 방법으로 적절한 것은?

① 본문 영역에서 '성별' 컨트롤을 선택한 후 조건부 서식에서 규칙으로 필드 값이 다음 값과 같음, 값을 '여자'로 지정한 후 서식을 설정한다.
② 본문 영역의 모든 컨트롤들을 선택한 후 조건부 서식에서 규칙으로 조건 식을 [성별]='여자' 로 지정한 후 서식을 설정한다.
③ 본문 영역의 모든 컨트롤들을 선택한 후 조건부 서식에서 규칙으로 필드 값이 다음 값과 같음, 값을 '여자'로 지정한 후 서식을 설정한다.
④ 테이블의 데이터시트 보기에서 여자 회원 레코드들을 모두 선택한 후 서식을 설정한다.
풀이)
- 폼 본문의 모든 컨트롤의 텍스트들에 조건부 서식을 지정할 경우, 조건부 서식에서 규칙으로, 조건식으로 작성합니다.
식 : [성별]='여자' - 1과 3은 (해당 컨트롤만 선택하든 모든 컨트롤을 선택하든) 조건부 서식의 규칙으로 필드값을 기준으로 하면
필드값만 서식이 적용된다.
55. 폼의 각 컨트롤에 포커스가 위치할 때 입력모드를 '한글' 또는 '영숫자 반자'로 각각 지정하고자 한다. 다음 중 이를 위해 설정해야 할 컨트롤 속성은?
① 엔터키 기능(EnterKey Behavior)
② 상태 표시줄(StatusBar Text)
③ 탭 인덱스(Tab Index)
④ IME 모드(IME Mode)
- IME모드 : 컨트롤에 포커스가 들어왔을 때 입력모드를 지정
탭 인덱스 : 폼에서 해당 컨트롤의 탭 순서를 지정
엔터키 기능(EnterKey Behavior) : 텍스트 상자 컨트롤에서 엔터키(EnterKey)를 눌렀을 때 수행할 작업 설정
상태 표시줄 텍스트 : 컨트롤이 포커스를 가질 때 상태 표시줄에 표시할 메세지 설정
56. 아래와 같이 보고서의 그룹 바닥글에 도서의 총 권수와 정가의 합계를 인쇄하고자 한다. 다음 중 총 권수와 정가 합계 두 컨트롤의 수식으로 옳은 것은?

① =Count([정가]) &"권", =Total([정가])
② =CountA([정가]) &"권", =Sum([정가])
③ =CountA([도서명]) &"권", =Total([정가])
④ =Count(*) &"권", =Sum([정가])
풀이)
- 그룹 바닥글의 계산 컨트롤에서, 그림과 같이
총 권수 : =Count(*) &"권"
정가합계 : =Sum([정가])
- 엑세스에는 CountA 함수가 없습니다.(엑셀에는 counta 함수가 있음) 2번, 3번은 무조건 틀렸구요.
엑세스에서 사용되는 count 함수는 문자, 숫자 가리지 않고(구분하지 않고) 모두 세어줍니다. 그러므로 도서의 총 권수를 세야 하니 count 를 사용을 해야 하겠고요.
문제에서 도서의 총 권수라고 했으니까 컨트롤 원본에 다가 =count(*) 이렇게 써야 합니다..
count(*) 여기에서 괄호 안에 들어간 *가 모두의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즉, 모든 갯수를 세어준다는 의미이죠.
=count(*) &"권" : count 함수로 이용해 도서의 총 권수를 세어주되 & 연산자 이용해서 권이라는 글자하고 연결해서 출력합니다. - 그리고 정가의 합계를 구할려면 집계 함수 중에서 Sum 함수를 써야합니다. 컨트롤 원본에 다가 사용할 때 =Sum([필드명]) 이런식으로 해서 사용하는데 정가의 합계이니 =Sum([정가]) 이렇게 사용해야 합니다.
- ※ 엑세스에서 사용하는 집계 함수 (SQL 계산 함수)
Sum : 합계
Avg : 평균
Max : 최대값
Min : 최소값
Count : 개수
57. 다음 중 정규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대체로 더 작은 필드를 갖는 테이블로 분해하는 과정이다.
② 데이터 중복을 최소화하기 위한 작업이다.
③ 정규화를 통해 테이블 간의 종속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④ 추가, 갱신, 삭제 등 작업 시의 이상(Anomaly)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 정규화
-테이블 조작 시 에트리뷰트들 간의 종속성 및 중복성으로 인해 예기치 못한 곤란한 현상이 발생하는데, 이를 이상(Anomaly)라고 한다.
정규화는 이 이상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중복성 및 종속성을 배제하는 원칙을 공식화한 이론이다.
-속성 수가 적은 릴레이션(테이블)로 분할하는 과정
-정규화를 수행해도 데이터의 중복을 완전히 제거할 수는 없다.
-이해하기 쉽고 확장하기 쉽도록 테이블을 구성하며 무결성 제약 조건의 구현을 용이하게 한다.
- 3. 종속성을 높이는 것이 아니라 종속성을 제거하는 과정.
58. 다음 중 Access의 개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쿼리는 폼이나 보고서의 원본 데이터로 사용할 수 있다.
② 폼은 테이블이나 쿼리 데이터의 입출력 화면을 작성한다.
③ 매크로는 모듈에 비해 복잡한 작업을 처리하기 위해 프로그램을 직접 작성하는 것이다.
④ 테이블은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사용하는 데이터베이스 개체로, 레코드 및 필드로 구성된다.
- Access에서 매크로란 테이블,쿼리,폼,보고서 등 엑세스 각 개체들을 효율적으로 자동화할 수 있도록 미리 정의된 기능을 사용하는 것입니다.(매크로:반복적인 작업 수행 시 간단하게 처리하기 위한 기능)
59. 다음 중 보고서에서 '페이지 번호'를 표현하는 식과 그 결과의 연결이 옳은 것은? (단, 전체 페이지는 3이고, 현재 페이지는 1이다.)
① =[Page] → 3
② =[Page]& "페이지" → 1& 페이지
③ =Format([Page], "000") → 1000
④ =[Page]& "/"& [Pages]& "페이지" → 1/3페이지
- page : 현재 페이지
pages : 전체 페이지
& : 연결 문자 (표시할 때는 안보임)
4번은 1(현재 페이지) / 3(전체 페이지)
- 1/3 페이지
60. 다음 중 액세스의 보고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보고서 머리글과 보고서 바닥글의 내용은 모든 페이지에 출력된다.
② 보고서에서도 폼에서와 같이 이벤트 프로시저를 작성 할 수 있다.
③ 보고서의 레코드 원본으로 테이블, 쿼리, 엑셀과 같은 외부 데이터, 매크로 등을 지정할 수 있다.
④ 컨트롤을 이용하지 않고도 보고서에 테이블의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풀이)
- 1.보고서 머리글 : 첫 페이지 상단에 한번 표시 , 보고서 바닥글 : 마지막 페이지 하단에 한번 표시
3. 보고서의 레코드 원본으로 테이블, 쿼리, SQL문 등을 지정할 수 있다.
4. 보고서는 폼과 동일하게 여러 유형의 컨트롤로 데이터를 표시 할 수 있다.
'IT자격증공부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퓨터 활용능력 1급 필기 컴퓨터일반 #17 (0) | 2023.01.31 |
---|---|
컴퓨터 활용능력 1급 필기 컴퓨터일반 #16 (0) | 2023.01.31 |
컴퓨터활용능력 1급 필기 예상문제 #14(스프레드시트 일반) (0) | 2023.01.26 |
컴퓨터활용능력 1급 필기 예상문제 #13(컴퓨터 일반) (0) | 2023.01.26 |
컴퓨터활용능력 1급 필기 예상문제 #12(데이터베이스 일반) (1) | 2023.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