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골디락스와 곰 세 마리"("Goldilocks and the Three Bears", 원제는 "곰 세 마리 이야기"(The Story of the Three Bears"))는 19세기 영국의 동화로, 여기에서 골디락스가 유래되었다.
골디락스는 경제, 천문학, 마케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너무 뜨겁지도 너무 차갑지도 않은 적당한 상태를 뜻한다.
▶ 경제 용어로서의 골디락스
- 실업률이 적당히 낮고, 물가도 적당히 안정되어 있는 경제 상태를 골디락스 경제라고 한다.
- 너무 뜨겁지도, 너무 차갑지도 않은 딱 적당한 상태로 경기가 좋아지고 경제도 건실하게 성장하지만 물가는 크게 상승하지 않는 이상적인 경제 상황을 골디락스 경제라고 한다.
▶ 천문학 용어로서의 골디락스
- 생명체 거주가능 영역(habitable zone, HZ) 또는 골디락스 존(Goldilocks zone)은 지구상의 생명체들이 살아가기에 적합한 환경을 전제로 이와같은 환경을 지니는 우주 공간의 범위를 뜻한다.
▶마케팅 용어로서의 골디락스
- 가격이 아주 비싼 상품과 싼 상품, 중간가격의 상품을 함께 진열하여 소비자가 중간가격 상품을 선택하도록 유도하는 전략을 골디락스 가격(Goldilocks Pricing)이라고 한다.
▦ 최근의 골디락스 시기
- 골디락스(Goldilocks) 경제란, 경기 과열도 아니고 침체도 아닌 이상적인 경제 상태를 의미합니다. 최근 가장 유사한 골디락스 상태는 2025년 초 미국 경제에서 관측되었다. 당시 미국 경제는 적절한 성장률과 낮은 실업률을 유지하면서도, 인플레이션이 안정적인 흐름을 보였다
- 하지만, 미국 연준의 금리 정책 변화와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현재는 골디락스 상태에서 점점 벗어나 있다. 특히 미국의 관세 정책 변화, 중국과의 무역 긴장, 유럽 경제 둔화 등이 영향을 미치고 있다
▦ 암호화폐 시장에서의 골디락스 가능성
암호화폐 시장에서도 골디락스 상태가 나타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다음 조건이 충족될 때 암호화폐 시장이 골디락스 상태에 진입할 가능성이 크다.
1. 적당한 유동성 공급
- 과도한 돈 풀기가 없으면서도, 유동성이 원활하게 공급되어야 한다. 현재 금리가 여전히 높은 수준이기 때문에 단기적으로는 유동성이 부족한 상황이다.
2. 안정적인 변동성
- 지나치게 급등락하지 않고, 일정한 상승세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최근 비트코인의 변동성이 낮아지는 경향이 있어 골디락스 조건에 부합할 가능성이 있다.
3. 정책적 지원
- 미국이 친암호화폐 정책을 펼칠 경우, 암호화폐 시장의 성장 가능성이 커진다. 트럼프 대통령이 암호화폐를 전략 자산으로 인정하면서, 암호화폐 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다.
4. 건전한 수급 구조
- 기관투자자들의 지속적인 유입과 안정적인 채굴 환경이 유지되어야 한다. 미국 정부의 비트코인 매입 전략 발표 예상(5월 중)이 이러한 흐름을 강화할 수 있다.
▦ 변수 및 리스크
1. 미국 대선(2024년 11월) 이후 정책 변화
- 감세 및 정부 지출 확대 정책이 인플레이션을 다시 자극할 가능성
- 지정학적 리스크: 글로벌 공급망 차질, 원자재 가격 급등 가능성
2. 연준의 통화정책
- 금리 인하 속도가 너무 빠르면 거품 형성, 너무 늦으면 경기 둔화
- 결론적으로, 2025년과 2026년에도 일정 조건이 충족된다면 골디락스 경제가 다시 나타날 수 있지만,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 결론
- 현재 글로벌 경제가 골디락스 상태를 유지하기는 어려운 상황이지만, 미국이 금리를 인하하고 친암호화폐 정책을 강화하면 하반기 암호화폐 시장에서 골디락스 상태를 맞이할 가능성이 있다.
- 특히 2024년 4월 비트코인 반감기 이후의 움직임과 기관 투자자들의 시장 참여도가 핵심 변수가 될 것이다

'유용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연결사회에서 생존하기 (1) | 2025.03.26 |
---|---|
빅블러 세계에서 생존하기 위한 전략 (1) | 2025.03.23 |
오컬트와 윤석열 (0) | 2025.03.08 |
저속노화를 위한 습관 (1) | 2025.03.02 |
‘GG(Grand Generation)’의 소비 권력 (2) | 2025.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