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암호화폐 경제

디핀으로 수혜를 받는 코인

DePIN(Decentralized Physical Infrastructure Network)은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물리적 인프라를 구축하고 관리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탈중앙화된 물리적 인프라 네트워크라고도 한다.

최근 블록체인과 탈중앙화 솔루션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디핀, DePIN(Decentralized Physical Infrastructure Network)이 주목 받고 있다. 아직 초기 단계지만 다양한 분야에서 기존 인프라 모델을 혁신할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는 평가다. 디핀으로 수혜를 받는 코인을 간략하게 알아보고자 한다.

DePIN(Decentralized Physical Infrastructure Network) 분야에서 주목받는 주요 코인들은 다음과 같다.

 

1. Filecoin (FIL)

  • 탈중앙화된 데이터 저장 네트워크로, 분산형 클라우드 스토리지를 제공합니다. Web3 인프라 구축에 필수적이며 DePIN의 핵심 프로젝트 중 하나로 평가됩니다.

2. Theta Network (THETA)

  • 비디오 스트리밍과 콘텐츠 전송을 위한 탈중앙화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전통적인 CDN(콘텐츠 전송 네트워크)을 대체하는 역할을 합니다.

3. Internet Computer (ICP)

  •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탈중앙화 컴퓨팅 네트워크로, 기존의 클라우드 서비스(예: AWS, Google Cloud)를 대체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4. IOTA (IOTA)

  • IoT(사물인터넷) 기기 간 데이터 및 가치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블록체인 프로젝트로, 스마트 인프라 및 에너지 관리에 적합한 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5. Render Network (RENDER)

  •  GPU 기반 컴퓨팅 파워를 분산화하여, 3D 렌더링, AI 모델 학습, 과학적 시뮬레이션 등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6. Arweave (AR)

  • 영구적인 데이터 저장을 위한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검열 저항성을 보장하며 DePIN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7. Akash Network (AKT)

  • 탈중앙화 클라우드 컴퓨팅 플랫폼으로, 사용자가 유휴 컴퓨팅 자원을 빌려주고 보상을 받을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합니다.

8. Helium (HNT) 

  • 무선 네트워크를 탈중앙화하여, IoT 기기 및 5G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9. Hivemapper (HONEY)

  • 차량에 부착된 카메라를 활용하여 탈중앙화 지도 데이터를 구축하는 프로젝트입니다.

10. DIMO (DIMO)

  • 차량 데이터 수집을 통해 운전자들이 데이터를 직접 판매하고 보상받을 수 있도록 하는 네트워크입니다.

DePIN은 기존 중앙화 인프라 모델(: AWS, Google Cloud, 중앙화된 CDN )을 대체하며, 블록체인을 활용해 보다 투명하고 효율적인 물리적 인프라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는 Web3 및 탈중앙화 경제와 맞물려 성장할 가능성이 높은 분야이며, 해당 프로젝트들의 코인이 향후 수혜를 받을 가능성이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