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플(XRP)이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2030년까지 전 세계 자산의 10% 이상이 토큰화될 것이다. 여기에는 주식, 채권, ETF뿐만 아니라 예술품, 탄소 크레딧 등 실물자산(RWA)도 포함된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24시간 운영되는 디지털 자산 시장 특성을 반영한 차세대 수탁 솔루션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이어 "리플은 기관급 수탁 솔루션인 리플 커스터디(Ripple Custody)를 통해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고 있다. 현재 20개 규제 관할권에서 상업적 수탁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리플 커스터디를 통해 디지털 자산 관리 복잡성을 줄이고, 비용 절감, 보안 강화, 운영 효율성 증대 등을 실현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 2030년까지 글로벌 자산의 10% 토큰화 전망과 XRP의 역할
블랙록(BlackRock)과 BNY멜론(BNY Mellon) 같은 글로벌 금융 기관들은 2030년까지 전 세계 자산의 10%가 블록체인 기반으로 토큰화될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 이는 주식, 채권, ETF뿐만 아니라 부동산, 예술품, 탄소 크레딧 등 실물 자산까지 포함하는 거대한 변화이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Ripple(XRP)과 RWA(Real World Asset) 시장은 중요한 역할을 할 가능성이 크다.
1. XRP의 역할: RWA 토큰화 및 결제 인프라
(1) XRP를 통한 실시간 결제 및 유동성 공급
- XRP는 기존 금융 시스템에서 크로스보더 결제(Cross-border Payment) 및 유동성 공급(Ondemand Liquidity, ODL)을 위한 핵심 자산으로 활용된다. 토큰화된 자산이 증가하면, 이를 거래하고 청산(settlement)하는 과정에서도 빠르고 효율적인 결제 네트워크가 필요해지며, XRP의 역할이 커질 수 있다.
- RippleNet은 이미 수많은 금융 기관과 협력하고 있으며, RWA 시장이 성장할수록 XRP를 통한 결제 및 스테이블코인 브릿징(Bridging)이 더욱 활성화될 가능성이 높다.
- XRP를 사용하면 T+0 결제(즉시 정산)가 가능하여 현재 금융 시스템의 T+2~T+3 지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2) XRP Ledger 기반의 RWA 토큰화
- XRP Ledger(XRPL)은 토큰 발행 기능(Native Tokenization)을 지원하며, 이미 부동산 및 기타 실물 자산을 토큰화하는 프로젝트들이 XRP Ledger에서 진행되고 있다.
- Ripple은 CBDC(중앙은행 디지털화폐) 및 RWA 프로젝트를 적극적으로 추진 중이며, Ripple의 Private Ledger를 활용해 기업 및 정부 기관이 자산을 블록체인에 기록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 Ripple과 Metaco 인수(2023년): Ripple은 디지털 자산 커스터디(Custody) 전문 기업 Metaco를 인수하며, 기관투자자들을 위한 RWA 솔루션을 구축하고 있다.
- NFT 및 RWA 지원: XRP Ledger는 2022년 XLS-20 표준을 도입하여, 예술품, 부동산, 탄소 크레딧 등의 RWA를 NFT 형태로 토큰화하는 것을 지원한다.
2. RWA 시장에서 XRP의 성장 가능성
(1) 기관 투자자와의 협력 확대
- Ripple은 이미 전통 금융 기관과 긴밀한 협력 관계를 구축하고 있다. BNY멜론, JP모건, 싱가포르 DBS은행 등이 RWA 토큰화 실험을 진행 중이며, XRP도 이러한 흐름에 편입될 가능성이 있다.
- 예를 들어, Ripple은 UAE, 일본, 브라질 등 여러 국가의 중앙은행 및 금융기관과 협력하여 CBDC 및 RWA 프로젝트를 테스트 중이다.
- 최근에는 홍콩 금융관리국(HKMA)이 RWA 토큰화 연구를 발표하면서, XRP Ledger를 기반으로 한 금융 시스템 도입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2) 탄소 크레딧(Carbon Credit) 시장
- XRP Ledger는 탄소 배출권(탄소 크레딧)을 토큰화하는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며, 이를 통해 기업들이 블록체인에서 탄소 배출권을 쉽게 거래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 2022년 Ripple은 탄소 배출권 시장에서 XRP Ledger를 활용하는 'Carbon Credit Initiative'를 발표했다.
- 토큰화된 탄소 크레딧을 글로벌 기업들이 XRP Ledger에서 거래할 경우, XRP는 환경 관련 RWA 시장에서도 중요한 결제 및 유동성 자산으로 활용될 수 있다.
(3) 부동산 및 예술품 토큰화
- 부동산 시장에서 토큰화된 부동산은 유동성을 높이고, 소액 투자자도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XRP Ledger에서 RWA 토큰이 활성화되면, 부동산 조각 투자, NFT 기반 예술품 거래 등에서도 XRP가 중요한 역할을 할 가능성이 있다.
3. XRP와 RWA 토큰화 전망: 5~10년 후
✅ 단기 전망 (2025~2026년)
- XRP가 금융 기관 및 CBDC 프로젝트와 협업을 강화하며, 일부 국가에서 XRP Ledger를 활용한 토큰화 실험이 진행될 가능성이 큼.
- 탄소 크레딧 시장에서 XRP Ledger 기반 프로젝트들이 성장할 것으로 예상.
✅ 중기 전망 (2027~2028년)
- 글로벌 RWA 시장이 본격적으로 확대되면서 부동산, 예술품, 채권 등의 자산이 XRP Ledger에서 토큰화될 가능성이 커짐.
- Ripple이 은행 및 기관과 협력하여 기관 투자용 토큰화 솔루션 및 커스터디 서비스를 확대할 가능성이 높음.
✅ 장기 전망 (2030년 이후)
- 전 세계 자산의 10% 이상이 블록체인에서 토큰화될 경우, XRP는 주요 금융 기관의 결제 및 브릿징 솔루션으로 활용될 가능성이 큼.
- XRP Ledger가 다양한 실물 자산을 토큰화하는 핵심 블록체인 플랫폼 중 하나로 자리 잡을 수 있음.
▦ 결론
- 2030년까지 RWA 시장이 급성장할 것이며, XRP는 금융 기관 및 글로벌 결제 네트워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가능성이 크다. 특히, CBDC, 탄소 크레딧, 부동산, 채권 등의 RWA가 활성화될 경우 XRP와 XRP Ledger의 영향력이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 XRP의 강점은 1) 빠른 결제 속도, 2) 낮은 수수료, 3) 기존 금융 기관과의 협력이다. 이러한 특성을 활용하면, XRP는 RWA 시장에서 유동성을 공급하는 핵심 암호화폐로 자리 잡을 가능성이 크다.
'암호화폐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SEC(미국 증권거래위원회)의 Sunshine Act Notice란? (1) | 2025.02.21 |
---|---|
RLUSD와 엑스알피 (0) | 2025.02.20 |
엑스알피 전략적 비축자산 편입 (0) | 2025.02.12 |
비트코인 비상관자산,민감자산? (0) | 2025.02.11 |
비트코인과 핀테크화(2) (0) | 2025.02.10 |